은퇴를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수입이 필요합니다. 사람에게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의식주가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이며, 그 외에도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돈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꾸준한 수입이 있다면 은퇴가 가능하다는 말인데, 꾸준한 수입을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은퇴 방법 중 하나로 꼽히는 4%의 법칙을 S&P 500 지수 투자를 통해 계산해보며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보겠습니다.
4%의 법칙
간단한 법칙입니다. 매년 전체 퇴직자금의 4%만 인출하고 나머지 자산은 자신의 성향에 맞는 투자 상품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 상품의 수익률이 매년 일정하지는 않겠지만 연 평균 4%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준다면 인출금에 대비하여 수익금이 더 크기 때문에 은퇴를 하더라도 자금이 소멸되지 않아 매년 은퇴자금에서 돈을 인출하며 생활이 가능한 것입니다.
매년 4% 이상의 수익률을 보여주는 투자처
연평균 4% 이상의 수익률을 꾸준히 내고 있는 투자 상품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가장 안정적으로 돈을 불릴 수 있는 은행의 예금금리는 최근 기준금리의 상승으로 인해 높아졌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서 지속적이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은행의 예적금보다 변동성이 높지만 수익률이 높은 상품으로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으며, 대중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대표적으로 부동산과 주식이 있습니다. 부동산과 주식 중에서 변동성이 그나마 낮으며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부동산입니다. 은퇴 자산의 투자처로서 투자 성향이 다소 안정적이어야 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기에 부동산이 더 나은 투자처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부동산은 현금화하기가 어려우며 매년 4%를 인출해야 하는 4%의 법칙을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주식입니다.
미국 주식 S&P 500 Index Fund
주식은 즉시 사고팔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변동성이 큽니다. 어떤 특정한 이슈로 인해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을 것 같다고 하면 자금은 썰물처럼 쉽게 빠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투자 자금은 순식간에 줄어들게 되며 반대로 시장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예상되면 투자 자금은 순식간에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주식의 성격상 은퇴자산을 주식으로 운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S&P 500 지수를 보면, 이 상품으로는 은퇴가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과거의 기록이 미래를 대변해 주진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과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해봐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위 차트는 S&P 500의 연평균 수익률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23년 수익률은 작성일 기준으로 며칠이 남았기에 현재 S&P 500 수치 기준으로 배당금을 포함한 수익률을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았습니다. 배당 포함 평균 약 12%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매년 4%를 인출해서 은퇴자금으로 사용하는 4%의 법칙에 이상적인 수익률입니다. (※자료마다 연평균 수익률의 차이가 조금씩 발생됩니다. 저는 보수적으로 S&P 500의 연평균 수익률 10%에 4%의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적정 은퇴자금은?
정해진 은퇴자금은 없습니다. 사람마다 생활 패턴, 소비 성향, 주어진 환경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누군가는 1년에 2,000만 원으로도 넉넉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누군가는 2억 원으로 부족한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1억, 3억, 5억, 10억 4가지의 상황에서 연평균 수익률 10%와 연 4%의 인출률을 통해 30년의 기간을 백테스트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에 의한 화폐가치의 하락을 참고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연차 | 투자금(억원) | 연 수익률(%) | 연 수익금(억원) | 잔액(억원) | 연 인출액(원) | 월 인출액(원) | 잔액(억원) |
1 | 1.00 | 10% | 0.10 | 1.10 | 4,400,000 | 366,667 | 1.05 |
⇣ | |||||||
10 | 1.63 | 10% | 0.16 | 1.79 | 7,185,019 | 598,752 | 1.72 |
⇣ | |||||||
30 | 4.85 | 10% | 0.49 | 5.34 | 21,365,168 | 1,780,431 | 5.12 |
연차 | 투자금(억원) | 연 수익률(%) | 연 수익금(억원) | 잔액(억원) | 연 인출액(원) | 월 인출액(원) | 잔액(억원) |
1 | 3.00 | 10% | 0.30 | 3.30 | 13,200,000 | 1,100,000 | 3.17 |
⇣ | |||||||
10 | 4.89 | 10% | 0.49 | 5.39 | 21,555,058 | 1,796,255 | 5.17 |
⇣ | |||||||
30 | 14.56 | 10% | 1.46 | 16.02 | 64,095,503 | 5,341,292 | 15.38 |
연차 | 투자금(억원) | 연 수익률(%) | 연 수익금(억원) | 잔액(억원) | 연 인출액(원) | 월 인출액(원) | 잔액(억원) |
1 | 5.00 | 10% | 0.50 | 5.50 | 22,000,000 | 1,833,333 | 5.28 |
⇣ | |||||||
10 | 8.16 | 10% | 0.82 | 8.98 | 35,925,097 | 2,993,758 | 8.62 |
⇣ | |||||||
30 | 24.28 | 10% | 2.43 | 26.71 | 106,825,838 | 8,902,153 | 25.64 |
연차 | 투자금(억원) | 연 수익률(%) | 연 수익금(억원) | 잔액(억원) | 연 인출액(원) | 월 인출액(원) | 잔액(억원) |
1 | 10.00 | 10% | 1.00 | 11.00 | 44,000,000 | 3,666,667 | 10.56 |
⇣ | |||||||
10 | 16.33 | 10% | 1.63 | 17.96 | 71,850,193 | 5,987,516 | 17.24 |
⇣ | |||||||
30 | 48.56 | 10% | 4.86 | 53.41 | 213,651,676 | 17,804,306 | 51.28 |
리먼 브라더스 사태
지수투자를 계획하고 백테스트를 진행하다 보면 늘 언급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최악의 한 해 수익률을 보여주었던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을 기점으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입니다. 만약 내가 은퇴를 했는데 다음날 금융위기 사태가 벌어지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당장 4%에 해당하는 생활자금을 인출해야 하는데 주식시장이 폭락한다면, 미국이 망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등의 많은 걱정과 의문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고 합니다. 즉, 평생 오르기만 하는 주식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주식은 변동성이 크다고 하는 것이며, 투자 상품 중에서 위험군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마다 투자 성향이 있습니다. 위험을 감내하면서 더 큰 수익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최대한 보수적으로 자산을 지켜내는 대신 적은 수익에 만족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투자는 본인의 의사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기에 자신의 상황과 투자성향을 잘 파악 후 은퇴 계획을 짜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S&P 500으로 계산해 보는 4%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