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해를 맞이하게 되면서 개인마다 새롭게 챙겨야 할 것이 있을 것입니다. 저는 올해 1종 보통 운전면허의 적성검사 갱신 날짜가 되면서 새롭게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아야 했었습니다.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운전면허시험에 합격하더라도 정기적으로 갱신하지 않는다면 과태료가 부과되거나 면허가 취소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온라인 신청을 진행한 후기를 공유해 보려 합니다.
운전면허 유효기간과 적성검사를 통한 갱신
운전면허시험을 합격하게 되면 운전면허증의 발급과 동시에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운전면허증을 처음 발급받으면 보통 자신의 사진과 함께 고유의 운전면허번호가 적힌 면허증을 훑어보게 되는데, 면허증에 적성검사 기간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최초 운전면허시험 합격 일로부터 10년 단위로 적성검사가 시행되는데, 처음 발급받을 때에는 이때 검사를 받아야겠구나 생각하지만, 세월이 흘러 운전면허증은 신분을 확인하는 용도 외에는 지갑 속에 보관되어 적성검사 시기를 잊어버리곤 합니다.
![갱신기간이 도래한 운전면허증](https://moneyformer.com/wp-content/uploads/2024/01/갱신기간이-도래한-운전면허증-optimized.jpeg)
운전면허증 갱신 기간은 도로교통법 제87조 제1항에 의거하여 운전면허시험에 합격한 날부터 기산하여 10년(운전면허시험 합격일에 65세 이상 75세 미만인 사람은 5년, 75세 이상인 사람은 3년, 한쪽 눈만 보지 못하는 사람으로서 제1종 운전면허 중 보통면허를 취득한 사람은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해의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입니다. (※갱신 기간 동안 적성검사 갱신을 완료하였다면 발급은 다음 해를 넘겨도 무관합니다. 예를 들어 24년 12월 31일에 적성검사 갱신을 완료했다면, 25년 1월에 운전면허증을 발급하여도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닙니다.)
만약 갱신 기간 동안 갱신을 하지 않게 되면 도로교통법 제160조 제2항 제7호에 의거하여 2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면허취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성검사 갱신 기간 동안 잊어버리지 않고 갱신을 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올해 갱신 기간임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날짜가 많이 남았으니 천천히 해야겠다고 생각하시다가 잊어버리기라도 한다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적성검사 갱신 신청
세월이 흐르면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할 수 있는 업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또한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운전면허시험장까지의 이동시간과 기다리는 시간 및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으니, 한번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온라인으로 신청 후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이나 경찰서에 방문해서 수령하는 과정은 필요합니다.) 참고로 전국 운전면허시험장은 서울시 4개(강남, 강서, 도봉, 서부) 부산시 2개(부산 북부, 부산 남부) 등 생각보다 많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몰리는 경우 긴 대기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지난 강서운전면허시험장 방문했을 때 대기하는 인원들](https://moneyformer.com/wp-content/uploads/2024/01/운전면허시험장방문-optimized.jpeg)
먼저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교통안전교육, 운전면허시험, 운전면허증(모바일) 발급 등의 민원업무를 온라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홈페이지입니다. 당연히 운전면허 적성검사와 갱신 업무 또한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 접속](https://moneyformer.com/wp-content/uploads/2024/01/안전운전-통합민원-홈페이지-접속-1-optimized.png)
안전운전 통합민원 홈페이지 메인화면입니다. 위의 이미지와 같이 운전면허증(모바일) 발급을 클릭 후 아래에 표시되는 메뉴 중 1종 보통 적성검사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하면, 간편 인증, 공동 인증서, 휴대폰 인증 등 다양한 인증방법을 통해 인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편하신 방법으로 인증을 진행합니다.
1종 보통 적성검사는 ①약관 동의/행정 정보제공 ②자기 신고서 작성 ③건강 검진 자료 조회 결과 ④사진 등록 ⑤면허증 종류, 수령지, 날짜 선택 ⑥연락처 등록 ⑦결제 총 7가지 단계로 진행되지만 생각보다 빨리 단계가 넘어가므로 천천히 따라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약관 동의/행정 정보제공
1종 보통 적성검사를 진행하게 되면서 숙지 해야 하는 이용약관 및 수수료, 면허정보 확인, 면허증 분실 여부 확인을 하는 단계입니다. 먼저 이용약관의 주요 내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신분증 인정범위에 허용이 되는 사진 규격 확인. (기존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사진은 사용할 수 없으며, 사진은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용 규격 컬러사진(3.5 x 4.5cm)만 가능.)
- 신청 완료 후 취소 및 면허증 수령지 변경 불가.
-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신청 시에는 당일 수령 가능. 경찰서 방문 신청 시에는 약 15일 정도 소요.
- 면허증 수령은 신분증을 지참하여 본인이 수령 원칙, 구 면허증은 필히 반납 요망.
- 적성검사 신청 후 기존 면허증을 분실한 경우 면허증 수령 불가. 면허증 분실 시 적성검사 신청 메뉴에서 면허증 분실 선택할 것.
- 적성검사 신청 후에는 기존 운전면허증을 금융기관 및 공공기관 등에서 신분확인 용도로 사용 불가. (새로운 운전면허증 수령 후 신분확인 용도 사용 가능.)
수수료는 연 초인 1~2월에 온라인으로 적성검사 갱신을 진행하게 되면 발급 수수료의 1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 수검 촉진을 위한 할인 행사인 것 같습니다.
▶︎ 적성검사 수수료 IC 모바일 면허증 국문, 영문: 21,000원 (조기 수검 시 19,500원), 일반 면허증 국문, 영문: 16,000원 (조기 수검 시 15,000원) ▶︎ 갱신 수수료 IC 모바일 면허증 국문, 영문: 15,000원 (조기 수검 시 13,500원), 일반 면허증 국문, 영문: 10,000원 (조기 수검 시 9,000원) |
본인의 주민등록번호, 운전면허번호, 주소 등이 기재된 면허정보를 확인합니다. 개명 및 전입신고 시 2~3일 정도 반영 기간이 소요된다고 하니 신청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 중인 운전면허증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데 정상적으로 소지하고 있다면 “소지하고 있습니다”를 체크합니다. 다만 기존 면허증 미반납 시 재발급 처리되어 재발급 비용 또한 청구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분실하였다면 “분실하였습니다”를 체크합니다. 분실했을 때 참고하셔야 할 것은 기존의 면허정보가 새롭게 변경되며, 신분증을 지참해야 면허증 수령이 가능합니다.
2. 자기 신고서 작성
질병 및 신체에 관한 자기 신고서를 작성하는 구간입니다. 병(의) 원에서 치료 또는 사법기관에 단속 받은 사실이 있는지 확인하는 구간으로서 치매, 조현병(정신분열병), 재발성 우울장애, 뇌전증(간질), 색약 또는 색맹 여부, 청력, 신체 장애 등을 자신의 판단으로 체크하여 신고서를 작성합니다. 허위로 기재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솔직하게 체크해야 할 것 같습니다.
3. 건강검진 자료 결과 조회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 자료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회 결과 적격인 경우에만 적성검사 신청 진행이 가능합니다. 보통 2년에 한 번 출생연도 홀수와 짝수를 나눠서 건강검진을 받으실 텐데, 해당 건강검진의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대부분 적격으로 판정되어 적성검사 신청을 이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부적격으로 판정되었다면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신체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 사진 등록
사진 등록은 신분증 인정범위에 허용이 되는 사진 규격으로서 기존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사진은 사용할 수 없으며, 사진은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용 규격 컬러사진(3.5 x 4.5cm)만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저는 최근에 찍은 증명사진이 없었지만 휴대폰을 통해 증명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편집 또한 가능한 앱이 있어 해당 앱을 이용하여 사진을 제출했습니다. 본인 확인이 어려운 사진이나 셀카, 저화질 사진 등은 발급이 거부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면허증 종류, 수령지, 날짜 선택
IC(모바일) 운전면허증과 일반 운전면허증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언어 구분 또한 국문(영문)과 국문 중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다만, 발급 시 비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앞서 1. 약관 동의/행정 정보 제공 메뉴에서 가격을 명시해놓았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IC(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모바일 운전면허증의 발급이 가능한 면허증으로서 스마트폰에서 운전면허증을 보관하고 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일반 운전면허증 발급 후 스마트폰으로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고 싶다면 운전면허시험장을 한번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원하시는 수령지와 날짜를 선택해 줍니다. 수령지의 경우 운전면허시험장과 경찰서에서 방문 수령이 가능하며, 두 군데 중에서 수령하기 편한 곳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수령일의 경우 가능한 수령일을 선택할 수 있는데 저의 경우에는 연초라서 그런지 운전면허시험장과 경찰서 두 군데 다 신청 날짜로부터 약 3주 뒤부터 수령일 선택이 가능했습니다.
6. 연락처 등록 7. 결제
운전면허 업무 편의를 위한 연락처 등록 화면으로서 휴대폰 번호 및 e-mail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을 하지 않아도 적성검사 갱신 업무를 진행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나 저는 향후 적성검사(갱신) 기간 안내 통지 및 경찰청 행정처분 안내 등의 공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등록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결제 화면에서는 신청내역을 확인 후 결제 진행이 가능합니다. 저는 연초에 진행한 적성검사라서 IC(모바일) + 국문(영문) 운전면허증을 선택해 10% 할인을 받아 19,500원에 결제를 진행했습니다.
1종 보통 운전면허증 적성검사 갱신 업무는 연말에 많은 신청량이 몰려서 운전면허시험장에는 각종 업무로 인한 민원인들이 인산인해를 이루는 편입니다. 그로 인해 직접 찾아가서 적성검사 갱신 업무를 진행하게 될 경우 대기시간도 늘어나게 되는데요. 올해 적성검사 갱신 대상이시라면 생각났을 때 미리미리 진행해서 적성검사 갱신 기간이 지나서 지불하게 되는 과태료 대신 10% 할인도 받고, 새로운 운전면허증으로 새해를 기분 좋게 시작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지금까지 새해를 맞아 1종 보통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온라인 신청 후기에 대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