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질라(filezilla) 설치 및 SFTP 사용 방법(feat. 워드프레스)

나의 PC에서 텍스트 파일 및 이미지 파일 등 파일 형태의 무언가를 워드프레스서버에 전송할 때 SSH/SFTP방식을 활용하여 전송이 가능합니다. 전송하기 위해서는 PC에 파일질라(filezilla) 또는 WinSCP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전송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파일질라를 통해 내 컴퓨터의 파일을 워드프레스 서버에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러그인? SFTP?

워드프레스에서 웬만한 문제는 플러그인 설치를 통해 해결이 가능해 보입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플러그인 설치는 워드프레스 서버의 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플러그인끼리 충돌하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에 필자는 정말 필요한 플러그인 외에는 설치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덕분인진 모르겠지만, 워드프레스 서버에 파일을 전송하는 일이 종종 생기곤 합니다. 그러므로 SSH/SFTP에 대한 얄팍한(?) 지식 정도는 알고 있어야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SSH 파일 전송 프로토콜(SSH File Transfer Protocol)/보안 파일 전송 프로토콜(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SFTP)이라고 불리며, 파일 전송이 가능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뜻합니다. 간략하게 말하면 내 컴퓨터의 파일을 워드프레스 서버에 업로드, 다운로드하는 네트워크 형식을 뜻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파일질라(filezilla) 설치

파일질라는 자유 소프트웨어 FTP를 대표하는 클라이언트 중 하나로서, 무료 오픈소스입니다. 물론 SFTP 또한 지원이 됩니다. 그래서 쓰임새가 많은 편이며, 워드프레스를 사용하시는 유저 분들께서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파일질라의 사용을 위해 설치를 먼저 해보겠습니다.

먼저 파일질라의 설치를 위해 파일질라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줍니다. 아래 링크는 파일질라의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파일질라 다운로드
파일질라 다운로드

위 이미지와 같이 Download FileZilla Client를 눌러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파일질라 다운로드2
파일질라 다운로드 종류

위 이미지에서 보이다시피 다운로드에 대한 세 가지를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운로드는 윈도우 버전과 맥 버전, 그리고 리눅스 버전으로 나눠집니다. ①기본적으로 윈도우 64bit x86 버전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②윈도우 32bit, 맥, 그리고 리눅스 32bit, 64bit 버전 별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③그리고 압축 버전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버전 별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고 설명하면 될 텐데, 번거롭게 숫자까지 나누어 설명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파일질라(filezilla) 설치 오류

①또는 ②를 통해, 올바르게 설치 후 실행까지 된다면 이 글을 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파일질라 설치 중 튕김현상이 발생된다면 꼭 보시길 바랍니다.

파일질라 튕김현상
파일질라 설치화면

위 이미지는 설치 진행을 하는 중일 때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Opera browser를 설치하겠냐는 말에 Decline을 선택 후 Next를 진행했습니다. 그 다음 설치 프로그램이 튕기면서, 설치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Opera browser를 설치해야 파일질라가 설치 가능한가 해서 Accept를 눌렀지만 똑같은 현상이었습니다. 그래서 확인해본 결과 Install 파일을 굳이 다운로드 하지 않고도 PC에 설치가 가능했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③Show additional download options 를 선택해 압축 버전을 다운로드하면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파일질라 압축파일 다운로드
파일질라 설치파일ⓐ와 압축파일ⓑ

위 이미지는 ③Show additional download options를 선택 후 나타난 화면입니다. ⓐ는 기존에 설치하다 튕김 현상이 발생되는 설치파일.exe파일이며, ⓑ는 zip으로 된 파일질라의 압축 파일입니다. 설치 파일을 압축한 것이 아닌, 압축을 풀면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 없이 filezilla.exe를 실행하면 바로 파일질라가 실행되는 파일입니다. 설치를 진행하다 튕김 현상이 발생되면 ⓑ를 설치하여, 파일질라를 실행해줍니다.

파일질라(file zilla) 접속 방법

파일질라 서버 연결
파일질라 메인화면

파일질라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이미지가 나타납니다. 왼쪽 상단의 사이트 관리자 열기라는 이름의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파일질라 사이트 관리자 입력
파일질라 사이트 관리자 생성화면

나의 워드프레스 서버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파일질라를 통해 워드프레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설정 화면입니다. 먼저 새 사이트를 눌러 줍니다. 그리고 프로토콜은 SFTP, 호스트는 본인의 워드프레스 서버 IP주소, 그리고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연결을 누르면 됩니다. 아래는 ②, ③ 옵션에 대한 조회 방법입니다.

워드프레스 서버 설정화면 접속
클라우드웨이즈 메인화면

클라우드웨이즈를 로그인하면 왼쪽 메뉴 들 중에 Cloudways Flexible 선택, 그리고 My Servers를 선택합니다.

워드프레스 서버 설정화면 접속2
클라우드웨이즈 서버 선택

본인이 생성했던 서버를 선택해줍니다. 저는 싱가포르 서버에 2GB로 생성되어있는 DigitalOcean의 서버를 선택했습니다.

워드프레스 서버 설정화면 접속3
클라우드웨이즈 서버 설정화면

본인의 워드프레스가 생성된 서버의 Management 화면입니다. 앞서 안내해드렸던 파일질라의 새 사이트 관리자 정보 입력 시 ②호스트에는 위의 이미지에서 Public IP, 그리고 ③사용자 / 비밀번호 입력 창에는 위 이미지에서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합니다. 이 방법이 아닌 클라우드웨이즈 최초 로그인 때 사용하는 계정으로 로그인 시도를 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처럼 인증 실패, 치명적 오류 : 서버에 연결하지 못함. 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게 되면서 파일질라를 통한 워드프레스 서버에 접속이 불가 하게 되므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질라 접속실패(위) 파일질라 접속성공(아래)
파일질라 접속 실패 메시지(위) / 파일질라 접속 성공 메시지(아래)

파일질라(file zilla) 사용방법

로그인이 성공하였다면, 파일질라를 통해 나의 PC에서 워드프레스 서버로 파일을 전송 해보겠습니다. 전송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먼저 나의 PC에서 워드프레스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①나의 PC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이 들어간 폴더를 선택. ②전송 받고자 하는 워드프레스 서버의 폴더 선택. ③나의 PC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 더블 클릭.

나의 PC 워드프레스 서버 파일 전송
PC ▶ 워드프레스 서버 파일 전송

위 이미지에서 아래 파일 전송된 내역을 확인해보면 방향이 –>>이렇게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파일이 전송 완료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반대로 워드프레스 서버에서 나의 PC로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방법과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①워드프레스 서버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이 들어간 폴더를 선택. ②전송 받고자 하는 나의 PC의 폴더 선택. ③워드프레스 서버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 더블 클릭.

워드프레스 서버 나의 PC 파일 전송
워드프레스 서버 ▶ PC 파일 전송

전송이 완료되었다면 이제는 반대로 방향이 <<–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오른쪽의 워드프레스 서버에서 왼쪽의 나의 PC로 파일이 전송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상으로 파일질라 설치 방법부터 SFTP 전송 방식으로 PC ↔ 워드프레스 서버 간의 파일 전송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워드프레스 운영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글 내 이미지 출처 : Filezilla, Cloudways)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