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T 종일권 이틀 주차 사용 방법

자동차를 이용해서 낯선 곳을 가야 할 때는 주차 문제를 항상 생각 해야 합니다. 잠깐 주차를 한다면 크게 상관은 없겠지만, 하루 또는 이틀 이상 장기 주차를 하게 된다면 이용 금액과 주차장 상태, 이용자 후기 등 여러가지를 따져 봐야 합니다. 카카오T 주차는 대표적인 주차 앱 중 하나로서, 확인해 볼 수 있는 많은 정보들을 보여줍니다. 카카오T 주차 앱을 통해 하루(종일권) 또는 이틀(2일~10일권) 이상 사용하게 될 때 사용 방법과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T 주차 이용하기

카카오T 주차에서 조회 되는 주차장은 크게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공영 주차장과 개인 또는 기업에 운영하는 민영 주차장으로 나뉩니다. 공영 주차장은 공공 기관에서 운영 하다 보니, 주차비가 비교적 저렴한 편이고,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자녀, 경차, 전기차 등에 대한 다양한 할인 제도가 있습니다.

민영 주차장은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에서 운영하는 만큼 가격이 비쌉니다. 민영 주차장을 운영하는 기업을 방문하거나, 제품을 구매하는 등의 조건에 부합되면 할인을 해주지만, 조건에 부합되지 않거나 주차장만 운영하는 곳이라면 요금이 공영 주차장에 비해 대부분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카카오T에서 주차장을 검색하면, 다양한 주차장이 검색 결과로 나타나는 만큼, 나에게 주어진 조건에서 좀 더 저렴하고, 편리한 곳을 잘 찾아서 이용 해야겠습니다.

카카오T 주차 패스와 주차권

카카오T 주차장을 검색하면, 주차 패스, 또는 주차권, 주차패스와 주차권 두 가지를 다 운영하는 곳과 아무 혜택 없이 주차장만 덩그러니 검색 결과로 보여주는 곳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카카오 T와 제휴를 맺었냐 맺지 않았냐 차이로 나뉜다고 볼 수 있겠죠. 참고로 22년 카카오에서 인수하여 직접 주차장을 운영 중인 케이엠파크(km파크) 주차장도 주차패스와 주차권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T 검색결과
카카오T 검색 결과. 출처: 카카오T

주차패스와 주차권이 사용되지 않는 주차장이라고 해서 비싸거나 시설이 좋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제휴가 되지 않았을 뿐이지, 카카오 T와 제휴 되지 않은 곳이 오히려 더 저렴한 경우도 있습니다.

주차패스와 주차권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주차패스는 앱에 자신의 차량을 등록하고 결제 수단을 등록하면, 주차장에서 별도의 과정 없이 사전에 등록된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결제와 동시에 출입문을 열어주는 시스템입니다. 주차권은 선불 결제 후 사용하는 정기 주차권과 비슷한 느낌인데, 정해진 시간에 따라 사용하는 시간제와 주간 또는 야간에만 사용하는 주간권 또는 야간권, 그리고 일수에 따라 사용하는 종일권부터 2~30일권 까지 다양합니다.

카카오T 주차권 사용 시 주의 사항

카카오T 주차권 중에서 종일권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당일 00:00부터 23:59까지 할인되는 요금으로 사용이 가능한 정기 주차권입니다. 이 종일권을 24시간 가까이 사용할 예정이라면, 주차장마다 다르겠지만 통상적으로 시간 요금제보다 저렴합니다. 그래서 24시간을 사용하시는 분에게는 필수적으로 사용 해야 할 정기 주차권이지만, 이틀 이상 연달아 주차하게 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일 06시부터 3일 19시까지 3일 동안, 주차 시간으로만 따진다면 2일 13시간동안 주차를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통상적으로 주차 요금을 계산해보면, 1~3일까지 종일권 3일치를 예약하여 이용하면 주차장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카카오T에서는 1일 종일권 예약을 완료하고 2일 종일권을 예약하려고 하면, 이용 중인 서비스가 종료된 후에 다시 이용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2, 3일 양일간의 종일권은 예약이 되지 않습니다. 한번의 입출차 당 한 장의 주차권만 사용 가능하다는 정책입니다. 만약 이틀 이상 장기주차 시 당일만 종일권 사용이 가능하고, 다음날부터는 해당 주차장의 요금 정책에 따라 요금이 매겨진다는 것입니다. 즉, 종일권을 이틀 이상 연속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카카오T 주차권 유의사항

앞서 예로 들었던 상황으로 다시 돌아가 봅니다. 1일 06시 전 종일권을 예약하고 입차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2일이 지나고, 3일이 지나 19시까지 주차를 하게 된다면, 1일 06시부터 23:59까지는 종일권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2, 3일차에는 해당 주차장 요금 정책(예시: 시간 당 1,000원) 으로 2일 24시간+ 3일 19시간 = 43시간. 즉, 종일권 가격 + 43,000원의 요금이 지불되게 되는 것입니다.

카카오T 종일권을 이틀 이상 이용한다면

그러나 종일권을 이틀 이상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시 앞서 예를 들었던 1일 06시부터 3일 19시 까지 3일 동안의 주차 하는 상황을 가정해보겠습니다. 종일권을 3일 연속 적용하려면 먼저 1일차, 1일 06시 입차 전 종일권을 예약 후 입차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1일 23:59분전, 여유 있게 23:30쯤에 출차를 진행 후 다음날인 2일 종일권을 미리 예약합니다. 그리고 2일 00:00가 되는 시간에 (혹시나 시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여유 있게 00:05 정도?) 다시 입차를 진행합니다. 2일 종일권을 예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2일 24시간동안 종일권의 요금을 적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같은 패턴으로 2일 23:30쯤에 출차 진행, 그리고 다음날인 3일 종일권을 예약, 3일 00:05쯤 입차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되면, 하루 한 번의 입출차 당 한 장의 주차권인 종일권을 사용하면서, 종일권의 요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종일권을 꼭 사용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출차, 그리고 입차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이 있다는 것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애초에 이틀 이상 주차를 하신다면, 주차장을 찾아볼 때 종일권이 아닌 2일권, 3일권, 일주일권 등의 정기권으로 판매하는 주차장과 가격을 비교하셔서, 이용하시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간 여행이나 출장으로 차를 아예 못 뺄 상황이라면 말이죠. 카카오T 종일권 이틀 주차에 대한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