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기나긴 기간 동안 생각지 못한 많은 위기 상황들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시장은 과도한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숱한 위기들이 자산을 팔아야 하는 이유가 될지는 이미 많은 우량 자산들의 가격이 대답을 해주고 있지만,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심리적인 부분도 많은 역할을 함에 따라, 이 글은 제 투자 여정에서 많은 도움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중입니다.
시작을 2020년으로 설정한 이유는 제가 주식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산 시기가 2020년이기에 그 이후의 시간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투자의 거장이신 워런 버핏의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여러 사건들을 기록했으며, 위기가 아닌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소식들도 간간이 추가했음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0년
20년 1월 WHO 코로나 비상사태 선언.
미국의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격.
재선 성공한 양안정책의 핵심 대만 차이잉원.
브렉시트 최종 승인 결정.
20년 2월 확산되는 코로나.
20년 3월 서킷브레이커 발동.
사흘 만에 또 서킷브레이커 발동.
연준, 기준금리 0~0.25%, 양적완화 7,000억 달러 발표.
20년 4월 IMF 세계 경제 성장률 -3% 전망.
20년 5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역대 최저인 0.50% 결정.
20년 6월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인도-중국군 충돌 수십 명 사망.
20년 7월 테슬라,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1위 등극.
미국, 중국 편향적이라고 판단된 WHO 탈퇴.
미 중국의 휴스턴 영사관 폐쇄, 중 미국의 청두 영사관 폐쇄.
20년 8월 흑인 용의자 과잉진압으로 시작된 폭동.
아베 총리, 사임.
20년 10월 트럼프 코로나 확진.
20년 11월 바이든 당선.
화이자, 모더나 코로나 백신 임상결과 발표.
코스피 역대 최고치 경신.
다우 존스 역대 최고치 경신.
닛케이 29년 만에 2만 6700선 돌파.
20년 12월 영국 화이자 백신 긴급 사용 승인.
영국에 이어 미국도 백신 승인.
코스피 처음으로 2,800선 돌파.
2021년
21년 1월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세계 첫 접종.
코스피, 사상 첫 3,000돌파.
미국 민주당이 백악관 및 상하원 모두 장악.
일론 머스크, 세계 최고 부자 등극.
코로나 누적 확진자 수 1억 명 넘어.
게임스탑 주가 폭등.
21년 2월. 미얀마 민주화운동 발발.
한국 백신 접종 시작.
21년 3월.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
이집트 수에즈운하 ‘마비’.
21년 4월. 코스닥 지수 1,000 돌파.
바이든, 9월 11일까지 아프간에서 미군 철수.
코로나 백신 접종 10억 명 돌파.
21년 6월. 코스피지수, 사상 최초 3300 돌파.
21년 7월. 버진 갤럭틱, 민간 첫 우주관광 성공.
영국 코로나 방역 규제 해제.
21년 8월. 코로나 확진자 2억 명 돌파.
나스닥 사상 최고치.
21년 9월.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법정화폐 채택.
21년 10월. 페이스북 사명 메타 변경.
2022년
22년 1월. 마이크로소프트,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 발표.
22년 2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22년 3월. 미국 기준금리 0.25% 인상, 0.25~0.50%
22년 4월. 코로나 확진자 5억 명 돌파.
스리랑카 디폴트 선언.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
22년 5월. 미국 연준, 금리 0.5% 인상. 0.75~1.00%
가상화폐 루나 폭락.
22년 6월. 미 CPI 지수 8.6% 상승.
미국 연준, 기준금리 0.75% 인상. 기준금리 1.50~1.75%
22년 7월. 아베 전 총리 사망.
미 연준 금리 두 달 연속 인상 발표. 기준금리 2.25~2.50%.
22년 9월. CPI 8.3% 발표.
연준 금리 3연속 인상 발표. 기준금리 3.0~3.25%
22년 10월. CPI 8.2% 상승.
중국 당대회 개막. 시진핑의 3연임 공식화.
22년 11월. 미 연준, 기준금리 4연속 0.75% 인상. 기준금리 3.75~4.00%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시위.
22년 12월. 미 연준, 기준금리 0.5% 인상, 기준금리 4.25~4.50%
2023년
23년 1월. 중국 코로나 한 달 새 6만 명 사망.
중앙방역대책 본부. 30일 대부분의 실내에서 마스크 해제.
무역적자 사상 최대.
23년 2월. 연준, 금리 0.25% 인상. 기준금리 4.50~4.75%
미국, 전투기로 중국 정찰 풍선 격추.
23년 3월. 실버 게이트 파산.
SVB 은행 파산.
연준, 금리 0.25% 인상. 기준금리 4.75~5.00%
23년 5월. 미국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파산.
연준, 금리 0.25% 인상. 기준금리 5.00~5.25%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23년 7월. 연준, 금리 0.25% 인상, 기준금리 5.25~5.50%. 한국은행과 2.00% 차이.
23년 10월. 미국 10년 물 만기 국고채 금리 16년 만에 4.8% 돌파.
이스라엘 하메스 전쟁 발발.
미 국채 10년 금리 16년 만에 5% 돌파.
2024년
24년 4월. 이스라엘 이란 전쟁 우려 나스닥 S&P 다우 주가 폭락
원, 달러 환율 장중 1,400원 돌파
금값 사상 최고치 갱신
24년 5월. 이란 대통령 사망
중국의 대만 포위 훈련
24년 7월. 트럼프 피격
일본은행 금리 0.1% ➡️ 0.25% 인상
24년 8월. 코스피, 코스닥 서킷브레이커 4년만에 발동
24년 9월. 미국 연준 기준 금리 0.5% 인하. 기준 금리 4.75%~5.0%
24년 10월. 한국 은행 기준 금리 0.25% 인하. 기준 금리 3.25%
24년 11월. 트럼프 미국 47대 대통령 선출
미국 연준 기준 금리 0.25% 인하. 기준 금리 4.50%~4.75%
한국 은행 기준 금리 0.25% 인하. 기준 금리 3.00%
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 비상 계엄령 선포
미국 연준 기준 금리 0.25% 인하. 기준 금리 4.25%~4.50%
환율 1,487원 터치
2025년
25년 1월. 윤석열 대통령 체포
유럽, 가자지구 휴전 발효
일본은행 기준금리 0.25% 인상, 17년만에 최고 수준, 기준 금리 0.5%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충격
25년 2월. 트럼프 관세 전쟁 시작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로 인하
25년 3월. 트럼프, 젤렌스키 정상회담 충돌
이스라엘 가자 대공습에 ‘2달 휴전’ 끝…국제사회 비판 쇄도
25년 4월. 미국 해방의 날, 관세 전쟁 선포. 다우 4%↓·S&P지수 5%↓·나스닥 6%↓
대통령 윤석열 파면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
매도 사이드카 발동 후 3일만에 코스피 매수 사이드카 발동
그리고 나스닥
2020년부터 숱한 위기를 지내온 나스닥입니다.

2020년부터 살펴본 결과 주식을 팔아야할 이유는 다양했지만, 살 이유도 다양합니다. 이 글은 제가 투자를 지속하는 동안 업데이트될 것이며, 주기는 다소 불규칙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