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주업종 코드 및 소득 내역 확인 후기 (ft. 투잡 직장인)

5월은 종합소득세 납부의 달입니다. 일반 직장 근로자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2월에 진행되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세금을 돌려받거나 추가적으로 더 받으셨을 텐데요. 만약 직장에서 정기적으로 받는 근로소득 외에 발생되는 수익, 즉 투잡을 하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한 번 더 세금에 대한 정산을 진행해야 합니다. 오늘은 투잡을 하는 직장인이 홈택스를 통해 주업종 코드 및 소득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홈택스에서 소득 내역 확인하기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진행하는 5월의 경우 홈택스에 접속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하기라는 메뉴가 메인화면으로 출력됩니다. 홈택스를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안내하는 과정으로서, 절차에 따라 차근차근 진행하시면 큰 어려움 없이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까지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종합소득 금액 세부 내역
종합소득 금액 세부 내역

하지만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다 보면 당해 연도의 소득이 진짜 내 소득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생깁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②번에 해당되는 근로소득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받는 근로소득이기에 납득이 갔지만, ①번의 사업소득으로 잡힌 소득의 경우에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금액이었기 때문입니다.

①번에 해당되는 저의 사업소득 주업종 코드는 940918, 소득 구분은 40입니다. 해당 정보를 포털 사이트에 검색해 보니 아무래도 투잡으로 플랫폼을 통해 배달 일을 했던 것에 대한 내역 같은데, 저는 당해 연도에 투잡을 한 기억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래서 소득에 대한 세부 내역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소득 세부 내역 확인하기

홈택스의 앱을 다운로드해서 모바일에서 볼 수 있는 방법과 PC에서 볼 수 있는 방법, 두 가지로 나뉘는데 모바일 버전과 PC버전의 소득 세부 내역 확인 절차는 거의 동일하니, 아래의 모바일에서 소득 세부 내역 확인 절차를 차근차근 따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홈택스 앱을 로그인 후 종합 소득세 확정 신고 안내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①번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해당 화면에서 아래로 스크롤 해서 내려봅니다. 그러면 나타나는 ②번의 화면에서 신고 도움 서비스 바로 가기를 눌러서 ③번의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자료를 누르면 종합소득세 대상 연도의 모든 소득이 나타나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과거 배민원, 쿠팡 이츠, 우리 동네 딜리버리, 카카오 T 픽커 등 다양한 배달 알바를 했었는데, 2022년을 끝으로 하지 않은 줄 알았지만 2023년 초까지 알바를 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고 보니 어렴풋이 한창 추웠던 날씨까지 했었던 것 같기도 합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④번의 화면과 같이 다양한 사업 소득 지급 명세서가 나타나게 되는데 상세보기를 누르면 ⑤번의 화면처럼 사업 형태와 기준 경비율, 단순 경비율, 원천 징무의무자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기준 경비율과 단순 경비율의 차이

업종 코드에 따른 기준 경비율과 단순 경비율
출처: 홈택스
업종 코드에 따른 기준 경비율과 단순 경비율
출처: 홈택스

기준 경비율과 단순 경비율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자신이 종사하는 업종에 따라 업종 코드를 부여받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배달 알바를 했기에 940918의 업종 코드를 부여받았는데, 업종 코드별로 경비율은 상이하게 책정됩니다. (매년 바뀌니 확인을 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와 달리 사업소득자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경비에 한해서 경비처리가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임대료와 인건비, 재화의 매입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원칙적으로는 세무사를 통한 경비를 제외 후 소득 금액을 확정해야 하지만, 영세 사업자, 프리랜서, 투잡 직장인 등의 경우 장부 작성이 제한되므로, 정부에서는 계산이 용이하도록 경비율이라는 개념을 적용합니다.

업종별기준 경비율 적용 대상자단순 경비율 적용 대상자
농업, 임업 및 어업, 광업,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 매매업, 아래에 해당되지 않는 사업6천만 원 이상자6천만 원 미만자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업 및 창고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상품중개업, 욕탕업 등3천6백만 원 이상자3천6백만 원 미만자
부동산 임대업, 기타 개인 서비스업, 가구내 고용 활동 등2천4백만 원 이상자2천4백만 원 미만자

발생되는 매출에 따라 기준 경비율과 단순 경비율을 따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일정 기준 이상의 매출이 발생되면 기준 경비율, 이하로 발생되면 단순 경비율 대상자입니다. 예를 들어 업종 코드 940918의 단순 경비율 대상자의 경우 매출의 79.4%(일반율, 일반율: 사업장을 임차한 납세자의 적용률, 자가율: 본인 소유의 건물에서 사업을 하는 납세자의 적용률)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 종합 소득세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3천만 원의 매출이 발생되는 투잡 배달 직장인의 경우 3천만 원 – (3천만 원 x 79.4%) = 약 618만 원 + 기존 회사의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 소득세가 계산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3천6백만 원 이상의 매출에 해당되는 4천만 원의 매출이 발생된다면, 기준 경비율에 해당되어 4천만 원 – (4천만 원 x 19.1%) = 약 3,236만 원 + 기존 회사의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 소득세가 계산됩니다.

종합소득세 납부

저를 비롯한 투잡 직장인의 경우 2월에 진행했던 연말정산에서 입력한 인적공제를 비롯해 다양한 공제 내역들이 자동으로 입력되어 종합소득세가 계산될 것입니다. 계산된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치면 납부를 해야 하는데,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납부를 할 수 있는 절차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공동 인증서 필요)

그래서 아이폰을 사용하는 저의 경우에는 종합소득세 신고 후, 앱 상에서 발급되는 납부 영수증의 가상 계좌에 납부 금액을 입금하여 간단히 해결했었습니다. 아이폰 사용자이실 경우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 기록을 남겨봅니다.

종합소득세 영수증서
종합소득세 영수증서

지금까지 투잡으로 배달 알바를 했었던 직장인이 5월의 종합 소득세 신고를 진행할 때, 주업종 코드 및 소득 내역 확인 + 납부까지 완료했던 후기를 간략하게 남겨보았습니다. 이 글이 종합 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진행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하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