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를 이용하다 보면 다양한 사유로 인해 통행료 미납을 하시는 경우가 발생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종종 발생되므로 크게 당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납부를 고의적으로 무기한 연기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만, 정상적으로 미납요금을 납부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를 제외한 전국의 민자 고속도로 하이패스 미납 요금 조회 및 납부 사이트 바로 가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미납 요금에 대한 과태료와 민자 고속도로
실수로 지나친 고속도로 하이패스 구간의 경우 차량의 번호판을 통해 등록된 연락처로 미납 요금 안내 문자를 발송합니다. 따라서 웬만한 경우에서는 과태료 없이 통행료를 납부하게 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아주 드물게 고의성을 띄며 납부를 하지 않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에 해당될 경우 통행료의 10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아래의 표에 해당되는 경우입니다.
부과 유형 | 부과 시점 |
---|---|
1. 감면 단말기 부당 사용, 감면 카드 부당 사용 등 | 즉시 부과 |
2. 일반 차로 미납, 단말기 미부착, 단말기 사용 정지, 카드 거래정지, 카드 미삽입, 잔액 없음, 운행 차종 상이 | 4차 통지서 고지 시 즉시 부과 / 1년 이내 20회 이상 미납 발생 시 20회부터 즉시 부과(1차 안내문 고지 시 부과) |
미납 통행료의 경우 하이패스 홈페이지를 통해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합니다. (차량 명의자 본인 인증 로그인, 당일 미납요금 조회 불가)
또한 고속도로 통행료 앱 다운로드 후 간단한 본인확인 및 차량등록을 통해 미납요금을 조회하고 납부까지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민간투자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도로가 아닌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도로이기에 각 도로의 홈페이지 및 콜센터를 통해 미납 요금 조회 및 납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됩니다. (※ 민자 고속도로 중에도 한국도로공사의 하이패스 홈페이지에서 조회 및 결제가 되는 곳이 존재하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민자 고속도로 현황 및 각 도로별 홈페이지
민자 고속도로는 글 작성일 기준 22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수도권과 경상도에서 22개의 고속도로가 운영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위의 민자 고속도로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도로 이름을 선택하시면 홈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며, 명시된 전화번호를 통해 콜센터로 전화도 가능합니다. (※ 홈페이지에 명시된 전화번호이므로,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홈페이지 방문 확인을 권합니다.)
(130) 인천국제공항 📞032-560-6114 | (25) 천안-논산 📞041-850-6700 | (55) 대구-부산 |
(100) 수도권제1순환 📞1644-2505 | (65) 부산-울산 📞052-701-6286 | (60) 서울-춘천 📞1588-2504 |
(171) 용인-서울 📞1599-2505 | (110) 인천대교 📞032-745-8200 | (17)(171)(400) 서수원-평택 📞1877-1505 |
(153)(400) 평택-시흥 📞1661-5688 | (17) 수원-광명 📞1877-1505 | (52) 광주-원주 📞1877-0200 |
(105) 부산항신항 제2배후 📞055-339-7164 | (400) 인천-김포 📞1566-7069 | (301) 상주-영천 📞1877-0111 |
(29)(400) 구리-포천 📞1877-1925 | (110) 안양-성남 📞1877-1411 | (32) 옥산-오창 📞1877-1108 |
(17) 서울-문산 📞1877-1430 | (400) 봉담-송산 📞1877-0427 | (400) 화성-광주 📞1877-0380 |
(400) 포천-화도 📞1877-1140 |
고속도로 미납 요금 문자 안내가 왔을 경우 잊어버리기 전에 바로 납부해서 추가적인 통행료를 납부하는 경우가 없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전국 민자 고속도로 하이패스 미납요금 조회 및 납부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