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주식 ETF Nifty 50에 대해 알아보기 (ft. 상위 10개 기업)

세계 경제 대국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뒤를 이어 G2로 불리는 중국은 최근 미국의 지속적인 견제와 불안정한 정권 및 내수경제 상황에 따라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중국의 대체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인도의 대표되는 주식 ETF Nifty 50과 상위 10개 기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인도의 성장성

각 나라 별 다가올 미래의 경제 성장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단 하나의 지표를 봐야 한다면 어떤 것을 봐야 할까요? 그것은 바로 나라의 인구입니다. 대다수의 경제학자들은 인구수를 경제성장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삼고 있습니다.

나라인구(명)비율
인도14억 4171만17.76%
중국14억 2517만17.55%
미국3억 4181만4.21%
인도네시아2억 7979만3.45%
파키스탄2억 4520만3.02%
세계81억 1883만100%
출처: 통계청

즉, 인구수가 많은 나라가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경제 발전의 주체인 기업의 성장력 또한 당연히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투자자가 되어 이러한 기업들의 지분을 산다는 것은 기업의 높은 성장성에 대한 과실을 함께 나눌 수 있다는 것이며, 좋은 투자 결과를 얻을 확률이 높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인도는 더욱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인도는 중국의 인구를 추월하게 되면서 최근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지만, 단순히 인구수뿐만 아니라 인구 중위 연령(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 있는 나이) 또한 중국보다 10세나 젊은 28.4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연도GDP 성장률(%)
20147.41
20157.99
20168.25
20176.79
20186.45
20193.87
2020-5.83
20219.05
20227.2
20237.3(추정)
평균5.84
최근 10년간 인도 GDP 성장률 (출처: WorldBank)

또한 미국의 대표적인 기업인 애플을 비롯하여 세계의 다양한 기업들이 인도에 투자를 함에 따라 성장률의 가속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미국 정부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대체재로 인도를 선택함에 따라 반도체 및 AI, 국방 기술 등 다양한 차세대 기술들을 바탕으로 인도와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Nifty 50

Nifty 50은 인도 국립 증권 거래소 National Stock Exchange에 상장된 기업 중 유동 조정 시가총액 가중 방식(※ 기존의 시가총액 가중방식에서 유동성이 더 높은 주식에게 가중치를 더 매겨주는 방식)으로 나열된 상위 50개 기업의 주식을 모아 놓은 지수입니다. BSE SENSEX와 함께 대표적인 인도의 종합 주가 지수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Nifty 50 비중 (※ 출처: Nifty 50, 24. 02. 20. 기준)
Nifty 50 비중 (※ 출처: Nifty 50, 24. 02. 20. 기준)

위 그림은 Nifty 50의 글 작성일 기준으로 분류된 섹터별 분포도입니다. 은행으로 대표되는 금융종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대세가 된 IT 기술 종목은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뒤를 이어 원유와 가스, 식음료와 담배, 주류, 화장품 등이 포함되는 일상 소비재,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기업 순입니다.

Nifty50 Top10 비중 (※ 24. 02. 20. 기준)
Nifty50 Top10 비중 (※ 출처: Nifty 50, 24. 02. 20. 기준)

위 그림은 Nifty 50 중 Top 10 비중을 나타낸 것입니다. 상위 10개의 기업을 섹터 별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Financial Services

Nifty 50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금융섹터입니다. 은행의 주 수입원은 대출과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 및 외환, 카드, 지급보증 등이 있지만, 주를 이루는 것은 대출과 유가증권입니다. 성장성이 높은 나라에서는 대출과 유가증권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은행의 성장성 또한 높은 편이며, 주요 기업들의 시가총액별 순위에서 은행은 보통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도 같은 경우에도 이에 해당되며, 그렇기에 Nifty50에서 은행들의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Nifty 50의 Top10 비중 중에서는 총 4개의 은행이 랭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HDFC Bank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약 11.04조 INR(한화 약 178조 원)에 달하는 HDFC Bank Ltd.입니다. 여느 기업과 마찬가지로 HDFC Bank Ltd.는 매 분기, 매년 주요 수치들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Size, 자산=부채+자본), 세후 당기 순 이익(Profit After Tax), 주당 순이익(EPS), 예금(Deposit), 대출(Advances), 자기자본이익률(ROE), 주당 배당금(DPS), 총자산 대비 수익률(ROA) 등이 이에 해당되는데,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성장이 비교적 둔화된 선진국의 은행들과 비교했을 때, 자산 및 예금과 대출 등의 실제 금액 크기는 비교적 낮더라도 주당 순이익(EPS), 자기자본이익률(ROE), 총자산 대비 수익률(ROA) 등과 같은 비율로 계산되는 수치, 그리고 해마다 성장률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0202120222023
Balance Sheet Size(₹ cr.)1,530,511.001,746,871.00+14.14%2,068,535.00+18.41%2,466,081.00+19.22%
Profit After Tax(₹ cr.)26,257.0031,117.00+18.51%36,961.00+18.78%44,109.00+19.34%
EPS(₹)48.0056.60+17.92%66.80+18.02%79.30+18.71%
Deposits(₹ cr.)1,147,502.001,335,060.00+16.34%1,559,217.00+16.79%1,883,395.00+20.79%
Advances(₹ cr.)993,703.001,132,837.00+14.00%1,368,821.00+20.83%1,600,586.00+16.93%
ROE(%)16.8016.60-1.19%16.90+1.81%17.40+2.96%
DPS(₹)6.5015.50+138.46%19.00+22.58%
ROA(%)2.011.97-1.99%2.03+3.05%2.07+1.97%
HDFC Bank Ltd. 주요 지표 (※ 24. 02. 20. 기준)

3. ICICI Bank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중 3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7.36조 INR (한화 약 113조 원)에 달하는 ICICI Bank Ltd.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HDFC Bank Ltd. 와 동일한 양식으로 지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매년 성장률이 타 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20192020202120222023
Balance Sheet Size9,644.5910,983.65+13.88%12,304.33+12.02%14,112.98+14.70%15,842.07+12.25%
Profit After Tax33.6379.31+135.83%161.93+104.17%233.39+44.13%318.96+36.66%
EPS5.2312.28+134.80%24.01+95.52%33.66+40.19%45.79+36.04%
Deposits6,529.207,709.69+18.08%9,325.22+20.95%10,645.72+14.16%11,808.41+10.92%
Advances5,866.476,452.90+10.00%7,337.29+13.71%8,590.20+17.08%10,196.38+18.70%
ROE(%)3.207.10+121.88%12.20+71.83%14.80+21.31%17.30+16.89%
DPS(₹)1.000.00-100.00%2.00+200.00%5.00+150.00%8.00+60.00%
ICICI Bank Ltd. 주요 지표 (in billion, ※ 24. 02. 20. 기준)

8. Axis Bank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중 8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3.36조 INR (한화 약 54조 원)에 달하는 ICICI Bank Ltd.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은행들과 동일한 양식으로 지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만, Axis Bank Ltd.의 매년 배당금은 일정하지 않아 DPS는 제외하였습니다.

20192020202120222023
Balance Sheet Size(₹ cr.)791,813900,990+13.79%986,798+9.52%1,175,429+19.12%1,317,326+12.07%
Profit After Tax(₹ cr.)4,6771,627-65.21%6,589+304.98%13,025+97.68%21,933+68.39%
EPS(₹)18.205.99-67.09%22.15+269.78%42.48+91.78%71.37+68.01%
Deposits(₹ cr.)539,287625,930+16.07%697,985+11.51%821,721+17.73%946,945+15.24%
Advances(₹ cr.)485,613557,249+14.75%614,399+10.26%707,947+15.23%845,303+19.40%
ROE(%)8.092.34-71.08%7.55+222.65%12.91+70.99%18.38+42.37%
ROA(%)0.630.20-68.25%0.70+250.00%1.21+72.86%1.82+50.41%
Axis Bank Ltd. 주요 지표 (※ 24. 02. 20. 기준)

10. Kotak Mahindra Bank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의 10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약 3.50조 INR(한화 약 56조 원)에 달하는 Kotak Mahindra Bank Ltd.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양식을 통해 지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20192020202120222023
Balance Sheet Size(₹ cr.)395,154443,153+12.15%478,854+8.06%546,498+14.13%620,430+13.53%
Profit After Tax(₹ cr.)7,2048,593+19.28%9,990+16.26%12,089+21.01%14,925+23.46%
EPS(₹)37.6044.70+18.88%50.50+12.98%60.80+20.40%75.00+23.36%
Investments(₹ cr.)76,85881,334+5.82%116,565+43.32%115,907-0.56%139,359+20.23%
Advances(₹ cr.)243,444249,859+2.64%252,170+0.92%304,474+20.74%359,107+17.94%
ROE(%)13.3013.70+3.01%12.80-6.57%13.40+4.69%14.40+7.46%
ROA(%)2.002.10+5.00%2.20+4.76%2.40+9.09%2.60+8.33%
Kotak Mahindra Bank Ltd. 주요 지표 (※ 24. 02. 20. 기준)

Information Technology

Nifty 50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정보기술 섹터입니다.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한국의 네이버와 카카오와 같은 기술기업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인도의 Nifty 50의 Top 10에 포함된 IT기업으로는 Infosys와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가 있습니다.

4. Infosys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의 4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6.91조 INR(한화 약 111조 원)에 달하는 Infosys입니다. 인포시스는 금융과 유통, 통신, 에너지 및 유틸리티, 제조, 하이테크, 생명과학 등 다양한 업종에서의 고객들을 상대하고 있으며, 4차 산업의 시대에 발맞춰 기존의 구시대적인 시스템들을 클라우드 구축과 같은 디지털화를 통해 업무 효율화를 진행해 주는 기업입니다. 또한 콜센터, 인사관리, 컨설팅 등의 다양한 업무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포시스  매출 분포
인포시스 매출 분포 (출처: 인포시스)

인포시스의 사업에 대한 설명이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동네 빵집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빵집의 주요 업무는 재료를 구입해서 빵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포시스와의 협력을 통해 동네 빵집은 빵만 만들어 팔던 과거와는 달리, 빵집의 매출을 제품의 구성별로 파악하고 데이터화시켜 무슨 요일에 매출이 많이 발생되며, 어떤 종류의 제품이 많이 판매되고, 재료는 어떻게 발주하는 것이 좋은지 등등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빵집을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고객의 니즈를 세분화하여 그에 맞는 마케팅을 통해 매출을 극대화하고, 빵집에 대한 컴플레인이 발생되면 인포시스의 콜센터를 통해 컴플레인을 대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업무들을 클라우드화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서포트해 주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사 기업으로는 미국의 팔란티어, C3AI 등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포시스 협력 기업 분포 (출처: 인포시스)
인포시스 협력 기업 (출처: 인포시스)

인포시스는 인도에서 창립되었으나 현재로서는 다국적기업으로서 인도보다 다른 나라에서의 매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은 기업입니다. (※ 북미: 59%, 유럽: 28.2%, 기타: 10.4%, 인도: 2.4%. 23년 4분기 기준)

7.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의 7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14.64조 INR(한화 약 236조 원)에 달하는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입니다. 줄여서 TCS라 칭하겠습니다. TCS는 타타그룹의 가장 큰 계열사 중 하나이며, 다른 계열사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알려진 타타대우상용차, 랜드로버, 재규어 등의 자동차 회사가 있으며, Air India와 같은 항공사 및 호텔사업, Zara, Westside와 같은 의류 브랜드, Tata Steel이라는 철강 사업 및 최근에는 스타벅스와 50:50의 지분비율로 합작하여 투자를 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 중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자랑하는 것은 TCS라고 볼 수 있습니다.

TCS는 금융과 유통,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제조, 테크, 서비스, 통신 등 다양한 업종에서 IT 서비스를 통한 컨설팅 및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포시스와 비슷한 업무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TCS 매출 분포
2023년 기준 TCS 매출 분포 (출처: TCS)

TCS의 지역별 매출은 북미 지역이 절반을 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유럽, 영국, 아시아, 인도 순이 되겠습니다. 인포시스와 마찬가지로 인도보다 타 지역에 대부분의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BFSI의 비중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Retail과 CPG, LS와 HC, MFG 순으로 이어지게 되겠습니다. (※ BFSI=Banking, Financial Services and Insurance의 약자로서 금융상품의 전반적인 모든 것에 해당, CPG=Consumer Packaged Goods의 약자로서 생활소비재를 뜻함, LS&HC=Life Sciences & Health Care의 약자로 생명과학과 헬스케어, MFG=Manufacturing의 약자, 제조를 뜻함)

Oil, Gas & Consumable Fuels

다음은 Nifty50에서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석유, 가스 및 소모성 연료입니다. 세계에서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 순으로 10위권에 포함되지 않는 인도는 인구 대비 자원의 매장량이 그리 풍부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Nifty50에서 이런 섹터가 Top10을 차지하게 되었는지 살펴보도록 합니다.

2. Reliance Industries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에서 2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14.64조 INR(한화 약 236조 원)에 달하며 인도 기업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기업 중 하나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만큼 기업 규모도 크며 사업의 형태도 다양합니다.

석유와 천연가스

석유와 천연가스를 탐사하고 생산하며 정제하는 기술까지 갖춘 릴라이언스는 2003년 인도에서 가장 많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Krishna Godavari라는 분지를 발견하여 지금까지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계 최대 규모 시설을 갖추고 있는 정유 단지라고 언급하고 있는 Jamnagar 정유 단지는 세계에서 생산되는 216개 이상의 다양한 등급의 원유를 처리해 왔다고 합니다.

출처: 릴라이언스
출처: 릴라이언스
석유 화학

릴라이언스는 섬유사업을 시작으로 사업이 번창하여 그 뒤로 많은 사업에 뛰어들어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시킨 바 있습니다. 그러므로 릴라이언스에게 섬유화학 분야는 그 어느 사업분야보다 의미가 깊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릴라이언스는 고급 원단을 만들어내는 직물 사업, 포장, 농업, 자동차, 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폴리머 소재,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원사, 섬유 중간체 및 합성 고무 등 다양한 소재들을 개발하고 생산합니다. 유사기업으로는 우리나라의 LG화학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소매업

인도 최대 매장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소매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18,774개의 매장수를 자랑합니다. 의류, 가전, 럭셔리 브랜드, 식료품점, 약국, 마트 등 고객과의 접점이 되는 곳마다 릴라이언스의 존재감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통신

인도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시라면 Jio라는 브랜드를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Jio는 릴라이언스의 통신사업에 해당하는 사업명으로서 현재 인도 최대 규모의 통신 업체이자 단일 국가로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규모의 통신 업체입니다.

Jio (출처: 릴라이언스)
Jio (출처: 릴라이언스)

구글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의 빅 테크 기업들과의 기술적 협약은 물론이거니와 Jio 자체적으로도 다양한 생태계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기준 가입자 수는 약 4억 7,000만 명을 보유 중이며, 플랫폼의 진출 영역은 클라우드, 미디어, 게임, 헬스케어, 금융, 교육, 제조 분야 등 상당히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소재, 신에너지

그 외 태양광 에너지, 풍력에너지, 수소에너지, 에너지 스토리지, 신소재 개발 사업에도 뻗어나감으로써 2035년까지 탄소 배출 제로 가업으로 탈바꿈하며, 에너지 수입국에서 에너지 수출국으로 변화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릴라이언스 사업 분포 (출처: 릴라이언스)
릴라이언스 사업 분포 (출처: 릴라이언스)

릴라이언스의 매출은 O2C라고 불리는 석유화학 사업이 타 사업 군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릴라이언스의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도 있는데, 포트폴리오의 다각화가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좀 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Fast Moving Consumer Goods

Nifty50에서 네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FMCG라고 불리기도 하는 Fast Moving Consumer Goods는 직역하자면 빠르게 움직이는 소비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재를 뜻하는데, 대표적으로 포장식품, 음료, 일반 의약품, 개인위생용품을 비롯해 스마트폰 등 비교적 저렴한 가전제품을 뜻합니다. Top10 목록에서는 ITC Ltd. 가 포함됩니다.

6. ITC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에서 6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5.02 INR(한화 약 80조 원)에 달하는 규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과거 Imperial Tobacco Company of India Limited라는 이름을 통해 1911년 잎담배 공급을 시작으로 담배를 제조하는 영국 소유의 회사였지만, 점진적인 사업의 다각화로 인해 2001년에는 줄임말의 ITC가 아닌 하나의 브랜드 ITC Ltd.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ITC 사업 영역 (출처: ITC)
ITC 사업 영역 (출처: ITC)

현재 ITC Ltd.의 사업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 FMCG(담배사업 & 그 외 기타 부문) 사업과 호텔, 농업, 특수용지 및 포장재 사업입니다.

FMCG (Cigarettes & Others)

ITC의 시초가 담배 기업인 만큼 담배사업 부문의 매출이 ITC 사업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주요 상품은 담배와 시가입니다. 그리고 그 외 기타 부문의 사업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아주 다양한데, Foods 사업(향신료, 비스킷, 제과 및 껌, 국수, 파스타, 음료, 냉동식품 등을 판매), Personal Care 사업(스프레이, 향수, 비누, 세럼, 채소&과일 세척제 등을 판매), 교육 및 문구류(펜, 교육용 AR 제품 등), 성냥 및 향초 사업(Agarbatti & Dhoop)으로 나뉩니다.

Hotel

ITC의 호텔사업은 인도의 럭셔리 호텔 체인 사업 중 하나이며, 총 6개의 브랜드로서 전국 80여 개 이상의 지역에 115개 이상의 호텔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ITC 호텔과 담배사업을 연계하여 ITC 호텔에서만 전용으로 판매되는 담배 및 시가 제품이 있기도 합니다.

농수산물 비즈니스

곡물, 콩류 및 가공 과일, 커피와 같은 다양한 농산물 및 새우와 같은 수산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을 인도 및 세계 60개국에 걸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용지 및 포장재, 포장 사업

상자, 전기 절연지, 필기 및 인쇄용지 등 지속 가능한 원료로 만든 100% 순수 식품 등급, 100% 재활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판지를 제공합니다. 또한 주류, 휴대폰 및 식품, 신발, 가전제품, 제약, 담배 등 다양한 물품들의 포장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ITC의 사업 영역이 다양하다 보니 영역별로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부분도 많은 것 같습니다.

ITC 사업 비중 (출처: ITC)
ITC 사업 비중 (출처: ITC)

ITC의 사업 비중은 FMCG 부문이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에도 담배 부문이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담배 사업으로 시작한 ITC이지만, 다른 사업의 비중 또한 괜찮게 분산되어 있어 나름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Construction

Nifty50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설, 공사 부문입니다. 인도는 높은 GDP 성장률을 자랑하고 있지만, 그와는 상반되는 낙후된 사회기반시설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이러한 분야에서의 성장 가능성 또한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Top10 목록에서는 Larsen & Toubro Ltd. 가 유일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기업은 사회기반시설의 건설이 주요 분야라고 볼 수 있습니다.

5. Larsen & Toubro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에서 5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4.54 INR(한화 약 73조 원)에 달하는 규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되는 분야는 사회, 경제적 기반 시설의 건설 프로젝트이며, 에너지 프로젝트, 하이테크 제조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금융, 부동산, 교육 서비스 분야에도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L&T 사업 분야 (출처: L&T)
L&T 사업 분야 (출처: L&T)

공항, 다리, 군사시설, 공장, 광물 및 철광 사업, 병원, 주택, 발전소, 재생에너지 인프라, 지하철, 철도, 항만, 송배전, 도로 인프라 등 다양한 시설들을 단순히 만들고 짓는 것뿐만이 아니라 해당 업무 특성상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기에 에너지 프로젝트와 하이테크 제조 기술 분야도 건설 사업과 연관돼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L&T 매출 비중 (출처: L&T)
최근 분기 L&T 매출 비중 (출처: L&T)

주요 매출 비중은 사회, 경제적 기반 시설 건설에 해당하는 Infrastructure Project가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서비스 분야 28%, 에너지 분야 14%입니다. L&T는 자국인 인도뿐만 아니라 중동과 미국&유럽 등 해외에서 생각보다 많은 절반가량의 매출이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lecommunication

Nifty50에서 아홉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통신 분야입니다.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은 물, 전기만큼이나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인프라 시설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상당한 매력을 지닌 섹터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Nifty 50의 Top10 목록에서 유일한 기업인 Bharti Airtel Ltd.에 대해 알아봅니다.

9. Bharti Airtel Ltd.

글 작성일 기준 Nifty 50에서 5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시가총액 6.72 INR(한화 약 108조 원)에 달하는 규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Bharti Airtel Ltd.는 인도뿐만이 아니라 남아시아, 아프리카의 16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출처: Bharti Airtel Ltd
출처: Bharti Airtel Ltd

인도 시장의 무선 통신 가입자 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선두를 달리고 있는 기업은 릴라이언스의 Jio입니다. 그 뒤를 이어 Bharti Airtel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 번째로는 영국 통신 기업 Vodafone입니다. 23년도 기준으로 이 세 기업이 인도 시장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Jio: 36.54%, Airtel: 34.82%, Vodafone: 22.34%, BNSL: 6.30%. 출처: TSPs)

23년 12월 Airtel 가입자 현황
23년 12월 Airtel 가입자 현황 (출처: Bharti Airtel Ltd)

Airtel의 국가별 가입자 수는 인도가 가장 많으며, 그 뒤를 이어 아프리카가 차지하고 있으며, 남아시아의 가입자 수는 타 지역의 가입자 수에 비해 영향력이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통신사업은 우리나라의 통신기업들과 비슷하게 무선인터넷과 셋탑박스를 이용한 O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은행, 카드, 대출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도 주식 ETF를 대표하는 Nifty 50의 상위 10개 기업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인도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리스크가 없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미래의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만은 명확하기에 개별 기업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가지고 가는 것보다는 ETF 투자를 통해 어느 정도 리스크를 상쇄해가며 투자 수익을 올려보는 것이 더 괜찮은 투자가 아닐까 생각하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