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맥북 에어를 당근으로 구매했습니다. 막연하게 맥북을 잘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지만, 아이폰을 줄 곧 사용하면서 애플에 대한 만족감이 컸기에 용기있게 구매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컴퓨터에서 맥북으로 필요한 파일 들만 옮겨보는 작업. 즉, 동기화 작업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에서 맥북으로 파일을 옮기는 방법들
윈도우 운영체제만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를 새로 바꿀 때 드는 보통의 생각은 클라우드 또는 메일을 사용하거나, 옮기고자 하는 파일의 용량이 커지게 되면 USB 또는 외장 하드 등을 사용하여, 파일들을 옮기고 응용프로그램은 설치해서 사용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태어나서 윈도우 운영체제만 써봤던 저로써도 당연히 그랬습니다.
하지만 맥북 에어를 구매 해서 외관을 살펴보니 꼽을 수 있는 장치는 C타입의 커넥터 두군데와 충전이 가능한 어댑터 한 곳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맥북에 대해 조금 알아보니, 다른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C타입의 허브를 구매해서 USB나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방법 뿐이더군요. 윈도우에서 맥 OS로 넘어가기 위해, 넘어야할 산이 그리도 많다고 들었는데 노트북을 열어보기도 전부터 이럴줄은 몰랐습니다.
하지만 중고거래 후 초기화되어있는 맥북을 부팅 하면서, 쓸데없는 걱정이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설정을 진행하다보니, 마이그레이션을 하겠냐는 안내문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마이그레이션(migration)
컴퓨터에서, 한 운영 체계에서 더 나은 운영 체계나 새로운 운영 체계로 옮아가는 과정.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마이그레이션의 사전적의미입니다. 스마트폰 기기 변경을 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폰에 저장된 연락처와 사진등을 새로운 스마트폰에 옮길 때 마이그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보통 같은 운영체제의 기기는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기기자체에서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 또는 아이폰에서 안드로이드로 기기를 변경할 시에는 클라우드나 앱, 또는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옮기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마이그레이션은 기기변경시 파일을 옮길 때 상당히 유용한 방법입니다.
마이그레이션을 이용한 파일 옮기기
맥북의 마이그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면, 맥 OS뿐만 아니라 Windows OS 까지도 전송이 가능합니다. 단, 조건은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인터넷 케이블은 컴퓨터에 연결한 상태, 그리고 맥북은 동일한 인터넷 케이블이 연결된 공유기를 통해 Wifi로 연결된 상태였습니다.
그리고 Windows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애플의 마이그레이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진행 후 설치된 파일을 실행합니다. 프로그램에서 안내문과 함께 다음 단계로 넘어가다보면, 맥북과 PC에서 같은 번호의 암호가 송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다는 뜻이겠죠. 설치파일은 아래 링크에 남겨 놓았습니다.
여기까지 확인이 되면 이제 Windows의 PC에서 맥북으로 옮기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으로 모든 파일이 체크되어 있는데, 원하고자 하는 파일만 선택하여 옮기기도 가능합니다.
저는 약 8GB의 용량을 전송하였고, 위의 이미지에서 보시다시피 약 25분간의 소요시간이 걸렸습니다. 용량이 비교적 적은편인데도 불구하고, 꽤나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대용량의 파일들을 전송 하신다면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넉넉하게 시간을 계획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비록 전송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렸지만, 앱이나 클라우드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를 C타입의 허브를 구매해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하면 비용적인 면이나 효율적인 면에서 애플의 마이그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애플의 마이그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윈도우OS에서 맥북의 맥OS로 파일을 옮기는 동기화 작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