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워드프레스와 같은 블로그를 운영해보면, 글을 작성하는 것과 동시에 이 글이 검색 포털사이트에 노출되기 위한 과정인 색인 요청을 진행 해야 합니다. 하지만 색인 요청의 번거로운 점은 각각의 포털사이트 웹마스터 도구에서 작성된 글을 하나씩 선택해서 요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글을 작성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면, 색인 요청 항목에도 보이지 않기도 하며, 색인 요청 결과 실패일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됩니다. 하지만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을 통해 자동으로 구글과 빙(Bing)에 색인 요청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러그인 Instant Indexing for Google
구글에서 자동으로 색인 요청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러그인을 설치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과정이 있습니다.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 한 번 익혀두시면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니, 천천히 따라 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먼저 아래 링크를 통해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 접속해줍니다. 접속해주시면 메인 화면에서 무료로 시작하기를 눌러 약관 동의 후 계속하기를 눌러줍니다. 새로운 구글 계정을 생성하는 것 보다는 기존에 사용하던 (애드센스, 애널리틱스, 서치콘솔이 가입된 계정) 구글 계정을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프로젝트 선택, 그리고 나타나는 창에서 새 프로젝트를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새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은 임의의 이름을 정해서 입력하면 되는데, 구분하기 쉽게 자신의 워드프레스 주소를 입력해주시면 나중에 확인하실 때, 편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의 과정은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의 자동 색인 요청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처음 한번만 필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자주 접속하실 일이 없으실 것입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하셨다면, 다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서 왼쪽 메뉴 중에서 IAM 및 관리자를 선택 후 서비스 계정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자신이 좀 전에 생성한 프로젝트가 보이는데, 그것을 클릭해줍니다.
+서비스 계정 만들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서비스 계정 이름과 서비스 계정 ID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전에 생성한 프로젝트 명과 동일한 이름인 워드프레스 주소를 입력해도 상관없으니 구분 짓기 편하시려면 워드프레스 주소를 입력하셔도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계정 ID에 따라 생성되는 이메일 주소를 잘 기억해 놓으셔야 합니다. 기억이 힘드실 것 같으면 메모를 해 놓으시길 권장 드립니다. 그리고 만들고 계속하기가 아닌 아래의 파란 박스 완료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제 서비스 계정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서비스 계정을 클릭하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봅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나타나는 화면에서 키, 그리고 아래에 키 추가, 새 키 만들기, 키 유형 JSON, 만들기 순으로 클릭을 해줍니다. 비공개 키가 생성된 파일이 컴퓨터에 저장됩니다. 중요한 파일이므로 저장된 경로를 확인하시고, 잊어버리지 않게 보관하셔야 합니다.
비공개 키가 생성된 파일을 저장했다면 다음 스텝으로 넘어갑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왼쪽 구글 클라우드 메뉴에서 API 및 서비스, 사용 설정된 API 및 서비스를 클릭해줍니다. 그리고 나타나는 화면에서 +API 및 서비스 사용 설정을 클릭합니다.
API 검색 창에 indexing api를 검색하면 두 가지 API가 검색됩니다. Indexing API를 선택 후 사용을 눌러 해당 API를 활성화 시켜 줍니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의 설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로 접속 해서 간단한 설정을 진행해줍니다. 당연히 앞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구글 서치 콘솔 또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과 동일한 구글 계정으로 접속해야 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왼쪽 메뉴 중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에서 사용자 및 권한 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나타나는 화면에서 사용자 추가 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주소는 좀 전에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생성한 이메일 주소를 넣어주고, 권한은 소유자, 그리고 추가를 눌러 사용자 추가를 완료합니다. 정상적으로 추가가 된 것을 확인하면 이제 워드프레스로 넘어가겠습니다. 마무리 단계에 거의 다 왔습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검색 창에 instant indexing을 검색합니다. 자동 색인 요청 플러그인을 설치할 것입니다. 지금 설치를 눌러 설치 후 활성화를 해줍니다.
설치된 플러그인 Instant Indexing for Google Setting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파일 선택을 눌러 좀 전에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다운로드 했던 확장자 명 JSON을 선택해서 업로드 해줍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글, 페이지를 체크하고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그러면 파일이 업로드 되면서, 글의 내용이 추가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Console 탭을 눌러 마지막 세팅을 진행합니다. Action에서 Google: Publish/update URL이 default로 선택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선택 후 Send to API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구글 자동 색인 요청에 대한 모든 세팅이 끝나게 됩니다. Success라는 초록색 글씨가 나오면 문제 없이 성공한 것입니다. 아래의 화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플러그인 Bing URL Submissions Plugin
구글에 이어 빙(Bing)의 자동 색인 요청 플러그인 설치에 대해 알아봅니다. 빙(Bing)은 구글에 비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금방 끝낼 수 있습니다. 빠르게 따라 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먼저 Bing URL Submissions Plugin을 설치 및 활성화를 진행해줍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 메인 화면에서 Bing Webmaster를 클릭한 뒤 API Key를 입력하면 끝납니다. API Key는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API Key를 확인하기 위해서 빙(Bing) 웹마스터 도구는 가입이 완료되어 있으셔야 진행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빙(Bing) 웹마스터 도구 가입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가입이 완료되었다는 전제 하에 계속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빙(Bing) 웹마스터 도구를 접속해줍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 후 계정을 로그인해줍니다. 그리고 메인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톱니바퀴의 설정을 클릭 후 API 액세스 권한, API 키, 그리고 API 키 생성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PI 키가 생성되면 복사를 클릭하여 API 키를 복사 후 좀 전에 워드프레스에 설치한 Bing URL Submissions Plugin Setting 화면으로 돌아가서 API 키를 입력, Start using plugin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빙(Bing)의 자동 색인 요청 세팅은 끝나게 됩니다.
플러그인 두 가지를 설치 및 세팅까지 끝내게 되면, 새로운 글을 작성한 뒤 빙 웹마스터 도구,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나의 새로운 글을 색인 요청 할 필요 없이, 해당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색인 요청을 진행 하게 됩니다. 자동으로 색인이 되어 포털사이트에 검색하면 나의 새로운 글이 보이는 것이 아닌, 색인 요청이 자동으로 진행된다는 뜻이니, 자동으로 색인 요청을 하고 난 뒤 오류가 생겼는지 색인이 잘 되었는지 추가적인 확인 작업은 필요해 보입니다.
오로지 워드프레스 글 쓰기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데 있어서 플러그인의 적절한 사용은 꽤 괜찮은 작업 방식이라고 보여집니다. 구글과 빙(Bing)의 자동 색인 요청을 해주는 플러그인을 통해 색인 요청에서 자유로워지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