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구글 네이버 검색 노출하기 (feat.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등록)

워드프레스를 통해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 할 계획이시라면, 검색자가 검색 포털 사이트에 키워드 검색을 하게 되었을 때 워드프레스에서 작성한 나의 글이 노출 빈도가 높아져야 합니다. 그래야 검색자들이 나의 글을 클릭을 하게 되면서 수익 창출이 이루어 질 텐데요. 어떤 키워드로 검색을 할 때 검색 포털 사이트마다 (구글, 네이버, 다음, 빙 등등) 자신의 글 노출을 도와주는 도구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국내 검색 포털 사이트의 양대 산맥인 구글의 구글 서치 콘솔과 네이버의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나의 워드프레스 주소를 등록하여, 나의 글들을 노출해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vs 구글? 네이버+구글!

구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포털 사이트입니다. 드물게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독보적이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구글이 네이버의 점유율을 갉아먹고 있는 모습입니다.

네이버 구글 국내 점유율 15년 23년
네이버(파랑) vs 구글(노랑) (2015년1월 ~ 2023년6월, 출처 : Internettrend.co.kr)

그 외에 다른 포털 사이트의 점유율로 봤을 때 네이버와 구글에 비해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우리의 입장에서 다른 포털 사이트는 제쳐두더라도, 네이버와 구글에서의 노출은 필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23년 6월 국내 검색엔진 점유율
국내 포털 사이트 중에서 점유율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네이버와 구글. (출처 : Internettrend.co.kr)

워드프레스 등록의 필요성

검색 포털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 구글, 다음 등에서는 각 회사마다 고객들에게 서비스의 형식으로 블로그를 무료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면상으로는 블로그 글에서 나오는 광고 수익이 글을 작성하는 작성자와 회사가 나눠 갖는다고 하지만, 작성자에게 돌아오는 수익은 상당히 적게 느껴지기에, 일정 수익의 많은 부분을 검색엔진을 운영하는 회사가 가져간다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각 회사마다 동일 키워드로 검색을 하게 되면,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운영되는 알고리즘의 차이도 있겠지만, 자신의 회사 블로그 글을 우선적으로 보여 줌으로서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함도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검색자가 네이버에서 검색 할 때 네이버 블로그의 글을 우선적으로 노출 시켜 검색자에게 검색 결과로 알려줍니다. 구글의 Blogger, 다음의 티스토리도 자신의 포털 사이트에서 우선적인 결과를 알려주려 합니다.

물론, 광고주들의 요구에 따라 광고들이 상위 노출 되는 경우를 비롯해 여러 이해관계들이 있겠지만, 그래도 각 회사 자신의 블로그 글을 우선 노출 시켜주는 것이 광고수익을 극대화 하는 방향이겠지요. 요즘에는 각 회사마다 타 회사에서 작성된 양질의 블로그 글도 함께 노출 시켜주는 트렌드로 바뀌어 가고 있는 듯 하긴 합니다.

하지만 워드프레스는 서비스 형식의 블로그와 성격이 다릅니다. 워드프레스는 검색 포털 사이트 운영과 관계가 없는 회사에 개인이 서버 운영 비용을 지불하며 작성하는 블로그이기에 자유도가 높습니다. 그렇기에 워드프레스에서 글을 작성하면, 글에서 발생되는 수익은 온전히 나의 것이지만, 반면에 워드프레스의 글들을 네이버나 구글, 다음에서 노출 시켜줄 의무도 없습니다. 그래서 검색 결과 노출을 부탁하는 입장에서 워드프레스 존재를 알리기 위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와 구글 서치 콘솔, 다음과 빙의 웹 마스터 도구 등에 워드프레스를 등록 하는 것입니다.

글이 다소 길어졌는데 국내 포털 사이트 점유율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다른 곳은 제쳐두더라도 네이버와 구글에게 나의 워드프레스를 알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네이버와 구글. 방법은 비슷합니다. 크게 나눠보자면, ①네이버와 구글이 제시하는 HTML 태그 붙여넣기. ②RSS 제출. ③사이트맵 제출. 입니다.

먼저 네이버 시작하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접속해줍니다. (네이버 로그인을 하셔야 하는데, 어떤 아이디로 로그인하셔도 무관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계정을 로그인하시면 향후 접속할 때 편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①네이버가 제시하는 HTML 태그 붙여넣기

상단 우측에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합니다. 사이트 등록 화면이 보이실 텐데 여기서 자신의 워드프레스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사이트 소유 확인이라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이 주소의 워드프레스가 나의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본인 확인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본인 소유 확인

①HTML 태그 선택 및 ②아래의 <meta name=”naver 로 시작되는 메타 태그를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자신의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를 접속해줍니다.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 설치

왼쪽 메뉴들 중에서 플러그인을 클릭 후 새로 추가를 눌러줍니다. 플러그인은 스마트폰에서 일종의 앱과 같은 개념인데, 무분별한 플러그인의 설치는 워드프레스의 속도 저하 및 플러그인 간 충돌 등의 악영향을 줄 수 있지만, 꼭 필요한 플러그인은 설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플러그인 Head & Footer Code
플러그인 Head & Footer Code

플러그인 검색 창에 head를 검색해서 가장 첫 번째로 나오는 플러그인인 Head & Footer Code를 설치해줍니다. <Head>섹션에 메타 태그를 붙여 넣기 위해 쉽게 편집이 가능한 플러그인이며, 동종 플러그인 중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러그인입니다.

Head&Footer Code 선택
Head&Footer Code 선택

설치가 완료되면 도구, Head & Footer Code 순으로 클릭하여 <Head> 코드를 편집하는 메뉴로 들어갑니다. Head Code 옆에 숫자가 보이면서, 메타 태그를 붙여 넣을 수 있는 빈칸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복사 했던 메타 태그를 붙여 넣습니다. 그리고 아래로 스크롤 하여 변경 사항 저장을 눌러줍니다.

메타 태그 붙여 넣기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메타 태그 붙여 넣기

원래는 아무것도 없는 빈칸이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네이버의 메타 태그를 붙여 넣기 전에 구글 애드 센스의 광고 송출 신청을 위해 코드를 입력했었습니다. 이와 무관하게 아무 숫자 옆의 공란에 네이버 메타 태그를 붙여 넣어도 상관 관계가 없기 때문에 공란이라면 붙여 넣기를 진행해줍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메시지
메타태그를 찾을 수 없습니다. (위) / 사이트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아래)

HTML 태그 편집이 끝났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로 돌아와 소유 확인을 클릭하면, 메타 태그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송출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네이버 서치 어드 바이저 메타 태그 붙여 넣기의 경우 즉시 반영되지 않으므로, 시간의 여유를 두고 다른 작업을 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티스토리의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신청인 경우에는 몇 분 걸리지 않았지만, 워드프레스는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느낌이었습니다. 1시간 정도 뒤에 재 확인해보니 사이트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②RSS 제출

RSS란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통용되며, RSS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워드프레스에서 글이 업데이트 될 시, RSS리더 파일에 글이 업데이트 되며, 사용자는 해당 글을 워드프레스 방문 없이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워드프레스 글 업데이트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확인 방식으로 글의 업데이트 현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기능으로 추정됩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의 사이트 등록 화면에서 좀 전에 등록한 자신의 사이트를 클릭해줍니다. 메타 태그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와는 무관하게 RSS 제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타 태그 입력이 끝나셨다면 바로 RSS 제출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왼쪽 메뉴들 중에서 요청 ▶ RSS 제출을 클릭합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RSS 제출 메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RSS 제출 메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워드프레스 주소를 입력 후 주소 끝에 /feed 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의 제출된 RSS에 아무것도 없었던 곳에서 워드프레스주소/feed가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RSS 제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RSS 제출

③사이트맵 제출

사이트 맵(Site map) 제출은 직역하자면 사이트의 지도. 즉, 검색엔진이 찾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주는 페이지의 목록들을 말합니다. 사이트 맵 또한 RSS 제출과 비슷하게 상당히 간단하므로 바로 진행해줍니다. 물론 메타 태그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와 무관하게 바로 진행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사이트맵 제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사이트맵 제출

좀전에 RSS 제출을 했던 것과 동일하게 왼쪽 메뉴들 중에서 요청을 클릭하면, RSS 제출 바로 밑에 사이트맵 제출이라는 메뉴가 보일 것입니다. 클릭하면 위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추가하고자 하는 자신의 워드프레스 주소 끝에 /sitemap.xml을 입력 후 확인을 눌러줍니다. 아래의 제출된 사이트맵에 sitemap.xml이 제출 된 것이 확인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자신의 워드프레스의 글이 네이버 검색 결과로 노출 되는 준비 단계가 끝났습니다. 다음은 구글 서치 콘솔에 워드프레스를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니, 쉽게 따라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

구글 서치 콘솔도 네이버와 상당히 비슷합니다. ①구글이 제시하는 HTML 태그 붙여 넣기. ②RSS 제출. ③사이트맵 제출. 입니다. 구글 시작하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합니다.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어떤 구글 계정을 사용하던 상관은 없지만, 주로 사용하는 구글의 계정으로 로그인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①구글이 제시하는 HTML 태그 붙여 넣기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오른쪽의 URL 접두어를 선택 후 URL 입력 란에 워드프레스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계속”을 눌러 진행해줍니다.

구글 서치 콘솔 주소 등록
구글 서치 콘솔 주소 등록

이미 다른 블로그(ex. 티스토리)를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한 상태라면, 왼쪽 메뉴 중에서 +속성 추가를 통해 워드프레스 주소 추가를 진행합니다. (처음이시라면 해당 메뉴가 생성되지 않았기에 이 단계는 생략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계정 추가
구글 서치 콘솔 계정 추가 (신규 가입자는 현재 과정 생략)

소유권 확인을 진행합니다. HTML 태그를 클릭 후 나타나는 메타 태그를 복사하여, 자신의 워드프레스 <Head>섹션에 붙여 넣어줍니다. 이미 네이버의 메타 태그가 입력되어져 있기 때문에 엔터를 눌러 구글의 메타 태그도 추가 해주겠습니다. 기존에 입력되어진 네이버 메타 태그, 그리고 지금 입력하는 구글의 메타 태그는 절대 지우시면 안됩니다. (이 과정은 네이버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본인 소유 확인
구글 서치 콘솔 본인 소유 확인

워드프레스에 메타 태그 입력. 그리고 위 이미지를 참고하여 구글 서치 콘솔에서 확인 ▶ 완료 순으로 진행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소유권 확인 완료
구글 서치 콘솔 소유권 확인 완료

소유권이 확인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유권이 확인 되는 시간은 네이버에 비해 짧았습니다. 대략 5분 내외였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②RSS 제출, ③사이트맵 제출

네이버의 서치 어드바이저와는 메뉴가 약간 다릅니다. 구글의 서치 콘솔은 Sitemaps 메뉴에서 RSS와 사이트맵을 동시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구글 서치 콘솔의 왼쪽 메뉴 중에서 Sitemaps를 눌러줍니다.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제출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제출

RSS는 워드프레스 주소/feed, 사이트맵 제출은 워드프레스 주소/sitemap.xml을 추가해 제출을 진행해줍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진행했던 방법과 유사하기에 쉽게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 RSS 사이트맵 제출
구글 서치 콘솔 RSS 사이트맵 제출

위의 이미지와 같이 RSS와 사이트맵이 정상적으로 등록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상태 메시지가 “가져올 수 없음” 으로 활성화된다면 시간을 두고 지켜보시면, 상태가 성공으로 변경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구글 서치 콘솔 RSS 사이트맵 오류 메시지
구글 서치 콘솔 RSS 사이트맵 오류 메시지

글 작성 후 추가 업데이트 사항입니다. (수정 일자 : 23.06.17)

구글 서치 콘솔에서 /sitemap.xml 등록 시 오류가 발생되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sitemap.xml이 아닌 /wp-sitemap.xml 등록을 하는 방법도 좋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오류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이용해 나의 워드프레스를 등록하여, 검색엔진에 노출 시키는 준비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워드프레스를 꾸준히 활용하여,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