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중국의 대체재로 떠오르면서, 투자자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도의 개별 기업들은 발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위험성도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많이 찾는 것이 ETF입니다. 오늘은 인도의 많은 ETF 중에서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 투자가 가능한 국내 상장 인도 주식 ETF를 한국 금융 투자 협회를 통해 증권사별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SE SENSEX & NIFTY 50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 지수로서 S&P500이 있다면, 인도에는 BSE SENSEX(인도 봄베이 증권거래소 Index) 와 NIFTY 50(인도 국립 증권거래소 Index)라는 주가 지수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이 두 지수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BSE SENSEX는 Bombay Stock Exchange Sensitivity Index의 줄임말로서 인도가 영국 식민지 시절이었던 1875년에 세워진 아시아 최초 증권거래소의 지수입니다. 인도 봄베이 증권거래소에는 약 6,000개의 기업이 상장되어 있으며 SENSEX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대표적인 30개의 기업을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어,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부터 많은 비중을 차지하도록 계산 된 지수입니다. 미국의 S&P500을 비롯하여 많은 지수들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되어 운용되어 집니다.
NIFTY 50은 National Stock Exchange 와 Fifty가 합쳐진 합성어로서, 인도 국립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약 2,000개의 기업 중 50개의 대표적인 기업의 유동 조정 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나타내는 지수이며, 현재 국내에 상장된 대부분의 인도 ETF가 Nifty50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동 조정 시가총액 방식은 기존의 시가총액 가중 방식에서 더 유동성이 높은 기업에게 많은 비중이 할당되는 방식으로서,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는 기업의 주식들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BSE SENSEX에 비해 NIFTY 50의 거래량이 더 높기 때문에 더 선호되는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인 기간으로 보았을 때 수익률은 SENSEX 지수가 압도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오래 전부터 운영되어진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기간으로 보았을 때에는 거의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확인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서 투자 가능한 인도 ETF
연금 저축 펀드에서 투자 가능한 주식은 국내에 상장된 주식만으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해외에 상장된 ETF를 어떻게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서 투자가 가능하겠어?라고 물으실 수도 있지만, 국내에는 해외에 상장된 ETF를 동일하게 추종하는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품이 다양해 질수록 증권사 입장에서는 고객을 유치하기 쉬울테니까요.
고객 입장에서도 연금 저축 펀드 계좌를 통해 자신의 입맛에 맞는 해외 ETF를 동일하게 추종하는 상품을 투자한다면, 연말정산 혜택 및 과세이연 혜택 등 세금에 대한 혜택이 많아 괜찮은 조건으로 투자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물론 ETF의 수수료는 저렴할 수록 좋을 것 같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인도의 대표적인 지수 추종 ETF는 ACE 인도네시아MSCI(합성) (256440), KODEX 인도Nifty50 (453810), KOSEF 인도Nifty50(합성) (200250), TIGER 인도니프티50 (453870). 총 4개가 있습니다. (레버리지는 제외하였습니다.) 막대한 유동성을 자랑하고 있는 미국의 지수추종 ETF를 추종하는 국내 ETF들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개수입니다. 국내 투자자들의 인도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만큼 기회는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4개의 상품들을 간략하게 표로 나타내보았습니다.
종목명 | KOSEF 인도Nifty50 | KODEX 인도Nifty50 | TIGER 인도니프티50 | ACE 인도네시아MSCI(합성) |
종목코드 | 200250 | 453810 | 453870 | 256440 |
자산운용사 | 키움 투자자산운용 | 삼성 자산운용 | 미래에셋 자산운용 | 한국투자 신탁운용 |
운용규모(시가총액) | 1,850억원 | 957억원 | 850억원 | 452억원 |
수수료 | 연 0.290% | 연 0.190% | 연 0.190% | 연 0.70% |
주당 가격 | 20,215원 | 11,005원 | 10,765원 | 10,755원 |
최근 1년 분배금 | 자료없음 | 23년 8월: 57원 | 23년 8월: 12원 | 미지급 |
상장일 | 14년 6월 | 23년 4월 | 23년 4월 | 16년 11월 |
추종지수 | Nifty 50 Index | Nifty 50 Index | Nifty 50 Index | MSCI Indonesia Index |
수수료 나쁘지 않은데? 과연?
각 증권사에서 공시된 자료를 통한 수수료를 확인해 보면, 상품마다 다르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신흥국의 해외 지수 추종 ETF 치곤 꽤나 괜찮은 수수료율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한가지 더 확인해봐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율 입니다.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는 각 자산 운용사마다 공시된 수수료율 외에도 앞서 언급한 기타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율을 일정한 날짜를 기준으로 공시하고 있습니다. 상품이 출시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운용규모가 커짐에 따라 대체적으로 수수료율은 줄어드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상품마다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4개의 인도 Index 상품들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운용규모 또한 가장 큰 키움 투자 자산운용사의 KOSEF 인도Nifty50 수수료율을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공시한 자료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금융투자협회에서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보수, 비용 수준은 위 표에서 보이는 비용 A~D까지 총 4가지의 비용들을 합한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KOSEF 인도Nifty50 상품을 투자 했을 때 실제로 매수자가 부담하는 수수료율은 연 0.4168%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키움 투자 자산운용사가 공시한 수수료율 0.290% 대비 0.1286% 높은 0.4168%의 수수료율이 해마다 실제로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0.1286%의 수치가 실제 투자에서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예시를 들어보았습니다.
연차 | 원금 | 수익금 | 총액 | 연간 수수료 (0.29%) | 누적 수수료 | 누적 수수료 차이 |
1 | 100,000,000 | 5,000,000 | 105,000,000 | 304,500 | 304,500 | 0 |
10 | 155,132,822 | 7,756,641 | 162,889,463 | 472,379 | 3,829,968 | 0 |
20 | 252,695,020 | 12,634,751 | 265,329,771 | 769,456 | 10,068,583 | 0 |
연차 | 원금 | 수익금 | 총액 | 연간 수수료 (0.4168%) | 누적 수수료 | 누적 수수료 차이 |
1 | 100,000,000 | 5,000,000 | 105,000,000 | 437,640 | 437,640 | +133,140 |
10 | 155,132,822 | 7,756,641 | 162,889,463 | 678,923 | 5,504,589 | +1,674,621 |
20 | 252,695,020 | 12,634,751 | 265,329,771 | 1,105,894 | 14,470,984 | +4,402,401 |
연차별로 연간 수수료율에 따른 차이를 단순하게 계산해본 표 입니다.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 투자하는 Index를 추종하는 ETF의 성격상 장시간 투자를 해야 빛을 보는 만큼, 투자 기간이 길어질 수록 공시된 수수료와 실제 수수료로 계산 했을 때 누적되는 비용의 차이는 상당할 것입니다.
보수율 + 기타 비용 + 판매수수료 + 매매, 중개 수수료율이 적용된 인도 ETF
좀 전에 계산한 키움 투자 자산운용사의 KOSEF 인도Nifty50 상품을 포함하여,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서 투자 가능한 4개의 인도 Index ETF의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수수료율을 적용해보았습니다.
종목명 | KOSEF 인도Nifty50 | KODEX 인도Nifty50 | TIGER 인도니프티50 | ACE 인도네시아MSCI(합성) |
종목코드 | 200250 | 453810 | 453870 | 256440 |
자산운용사 | 키움 투자자산운용 | 삼성 자산운용 | 미래에셋 자산운용 | 한국투자 신탁운용 |
운용규모(시가총액) | 1,850억원 | 957억원 | 850억원 | 452억원 |
변경된 수수료 | 연 0.4186% | 연 0.3408% | 연 0.4320% | 연 0.8197% |
주당 가격 | 20,215원 | 11,005원 | 10,765원 | 10,755원 |
최근 1년 분배금 | 자료없음 | 23년 8월: 57원 | 23년 8월: 12원 | 미지급 |
상장일 | 14년 6월 | 23년 4월 | 23년 4월 | 16년 11월 |
추종지수 | Nifty 50 Index | Nifty 50 Index | Nifty 50 Index | MSCI Indonesia Index |
한국 금융투자협회에서 공시한 수수료율을 적용한 위 표를 확인해보시면, 인도 주식 ETF 상품에 대한 생각이 조금 달라지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잘 비교해보시고 현명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연금 저축 펀드 계좌에서 투자 가능한 인도 주식 ETF를 증권사별로 비교해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