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이사를 하게 되면서 셀프 인테리어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비용을 아끼고자 오래되어 누렇게 뜬 천장의 몰딩들을 직접 페인트칠 하게 되었는데요. 페인트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와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그리고 제가 사용한 다이소 페인트에 대해서 등등 페인트 칠을 하게 되면서 알게된 정보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페인트의 종류
페인트의 종류는 크게 유성페인트와 수성페인트로 나뉩니다. 유성은 한자의 기름 유(油)를 머리글로 따온 단어로서, 기름과 섞인 페인트를 말합니다. 수성은 물 수(水)를 따와서 만든 단어이며, 물과 섞인 페인트를 뜻하구요. 그리고 그 외에 다양한 첨가제를 넣어서 내구성을 좋게 하거나, 보관 기간을 길게 가져갈 때, 발화나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염의 용도, 부식이나 침식을 막기 위한 내식의 용도 등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셀프인테리어를 할 때에는 유성페인트와 수성페인트만 알면 좋을 듯 합니다.
유성 페인트
먼저 장점입니다. 내수성이 좋아서 물에 강합니다. 일상에서는 주로 옥상의 방수공사를 진행할 때 사용되는 페인트를 떠올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페인트칠을 진행했을 때 형성되는 막의 내구성이 수성페인트보다 좋아서 특별한 코팅작업 없이도 먼지나 때에 강합니다. 녹일 수 있는 수지의 종류가 많아 방수, 방청, 플라스틱 도장 등 특수 목적용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수성페인트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이어서 단점입니다. 냄새가 독하며, 잘 마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두께를 일정하게 칠하기 힘들며, 잘 마르지 않기에 잘 흘러내리기도 하고, 도포 후 재 도포시에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리고 점성도를 낮춰 칠하기 좋은 상태로 만들기 위해 시너를 섞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너는 건강을 해치는 독성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용제가 기름성분이라 작업 중에 화재가 날 가능성이 있어, 작업 중에는 꼭 환기를 시키고, 가연성 물질이 작업장에 있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수성 페인트
장점입니다. 유성 페인트에 비해 잘 건조되어, 작업에 용이합니다. 또한 마르기 전에는 물이나 젖은 수건등으로 지울 수 있으며, 냄새가 비교적 적고 시너를 사용하지 않아 유성 페인트보다는 몸에 대한 유해성이 낮은 편입니다. 단점은 물에 잘 지워지기에 물이 닿을 수 있는 곳에는 취약한 편입니다. 물이 고이는 곳에서는 시공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유성 페인트보다 내구성이 떨어집니다. 셀프인테리어는 작업하기 쉬운 수성 페인트를 추천드립니다.
페인트 제조 업체
우리나라에서 페인트 업체로는 대표적으로 KCC, 노루페인트, 삼화페인트를 꼽을 수 있습니다. KCC가 업계에서 독보적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루페인트와 삼화페인트는 점유율이 비슷한 편입니다. 업체마다 특색이 있지만, 품질은 상향평준화가 되어 있기에 전문적으로 페인트칠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 셋 중에서 원하는 색상의 저렴한 가격을 선택하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이소 페인트
셀프인테리어를 진행하는 목적은 단연코 비용 절감일 것입니다. 간단한 페인트칠이라면 작업 난이도가 높지 않기에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셀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보통 페인트는 페인트 가게에서 판매하지만, 일반 소비자라면 페인트 가게가 조금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이소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곳이기 때문인데요. 다이소에서는 좀전에 설명드린 노루페인트가 제조하고, 다이소가 유통하는 방식으로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작성일 기준.) 색상이 화이트, 그레이, 아이보리 세가지로 조금 제한적이긴 하지만, 셀프인테리어로 단순한 작업시에는 가격과 접근성을 생각하신다면 괜찮은 선택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붓과 롤러, 젯소와 사포, 마스킹 테이프, 커버링 테이프 등등 부재료들도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페인트칠에 접근하지 못했던 분도 쉽게 진행 할 수 있습니다.
페인트칠 이쁘게 하는 Tip
먼저 페인트칠을 하기 전 면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을 진행해줍니다. 페인트를 칠하고 틈이나 구멍, 크랙, 이물질 등이 그대로 노출된다면, 보기 싫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탄화 작업은 페인트칠을 하고자 하는 곳의 재질과 손상된 정도 및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퍼티나 사포 등을 이용해 평탄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또한 사포는 페인트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페인트칠을 하지 않는 부위에는 마스킹 테이프나, 커버링 테이프를 붙여 작업구간 외의 구간에 페인트칠이 되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페인트칠을 하기 전 작업이 또 하나 있는데, 젯소 또는 프라이머를 바르는 것입니다. 페인트의 접착력을 도와주고,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며, 원래의 가구색을 가려줘서 페인트칠을 하면 색이 더 선명하고 잘 나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로 사포질이 힘든 작업에 사용되며, 젯소는 목재나 철재, 프라이머는 시멘트, 기계, 건축물 등의 표면에 사용됨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붓이나 롤러는 물에 적셔 한 번 털어내고 사용하면 숨어있던 잔털들을 제거할 수 있어 페인트칠을 진행할 때, 털이 묻어 나오는 것을 방지 해줍니다. 또한 페인트를 묻힐 때 푹 담그는 것이 아니라 붓이나 롤러의 겉면만 묻혀준다는 생각으로 묻히고, 롤러판에 페인트를 어느정도 묻혀서 페인트를 덜어내야 울퉁불퉁하거나 두껍게 칠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페인트는 얇게 두 번을 칠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페인트의 정의, 다이소 페인트에 대한 정보와 셀프로 페인트칠을 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셀프인테리어는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인테리어를 끝내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완성물을 가끔씩 살펴본다면 직접 진행 했다는 뿌듯함도 느낄 수 있겠죠. 성공적인 셀프인테리어를 기원하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