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외 배당 성장주 ETF VIGI 심층 분석 (ft. VYMI PID IDV 비교)

상당수의 투자 비중을 미국 주식 위주로 진행하고 있지만 이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한 가지 의문점에 봉착하게 됩니다. 희박한 가능성이지만 미국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까라는 점입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여러 상품을 찾던 중 그 대안이 될만한 VIGI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국을 제외한 배당 성장주 ETF로서, 비슷한 개념의 여러 ETF들 (VYMI, PID, IDV 등)과도 비교해 보도록 합니다.

Vanguard

VIGI ETF는 미국의 자산 운용사 뱅가드에서 운용하는 ETF 상품입니다. 뱅가드는 1975년 설립된 회사로서 운용 자산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자산 운용사 블랙락에 이어 미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운용 자산 규모 약 $7.7 Trillion, 한화 약 1경 원. 23년 4월 기준.)

또한 뱅가드는 ETF의 실질적인 창시자 존 보글이 창립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러한 배경 뒤에 탄생한 VIGI ETF는 자산 운용사의 운용 규모 면에서 보았을 때 아주 안정적인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Vanguard International Dividend Appreciation ETF, VIGI

비교적 최근 연도인 2016년 2월에 출시된 VIGI ETF는 현재 약 $6.8 Billion (한화 약 9조 원)의 순 자산 가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수수료는 0.15%로서 세계 주식에 투자하는 ETF로서는 비교적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시가 대비 배당률과 최근 5년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배당 성장 ETF로서 손색이 없는 수준으로 보입니다.

출시일2016년 2월
순 자산 가치$6.8 Billion (한화 약 9조 원)
수수료0.15%
배당률2.02%
최근 5년 연평균 배당 성장률10.32%
VIGI ETF (24년 3월 기준)

VIGI ETF와 유사한 배당 성장 ETF들을 비교해 보도록 합니다. 비교 대상은 미국 배당 성장 ETF로 잘 알려진 VIG ETF와 함께 미국 외 나라들의 배당 ETF인 VYMI, PID, IDV ETF입니다.

VIGIVIGVYMIPIDIDV
출시일16년 11월06년 4월16년 2월05년 9월07년 7월
순 자산 가치$6.8 Billion$91.4 Billion$7.6 Billion$922 million$4.1 Billion
운용사VanguardVanguardVanguardInvescoBlack Rock
종목수312315132448101
종목 회전율14.20%12.00%8.00%38.00%29.00%
수수료0.15%0.06%0.22%0.53%0.51%
배당률2.02%1.78%4.90%3.34%6.65%
최근 5년 연평균 배당 성장률10.32%8.47%6.25%2.47%1.23%
배당 주기분기분기분기분기분기
주요 배당 성장 ETF 비교 (24년 3월 기준)

VIGI ETF는 종목 구성에서 차이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VIG ETF와 상당히 유사한 면을 보이며, 특정 몇몇 항목에서는 오히려 VIG ETF를 능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리고 미국 외 배당 ETF인 VYMI, PID, IDV에 비해 낮은 시가 배당률을 보여주지만, 배당 성장률은 가장 높은 모습입니다.

VIGI ETF의 방법론. 추종 Index 알아보기

ETF 상품을 알아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ETF가 추종하는 Index입니다. Index의 기준에 따라 구성된 종목의 종류, 비중이 변경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수익률은 곧 ETF의 수익률과 직결됩니다. VIGI ETF가 추종하는 Index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합니다.

VIGI ETF는 S&P Dow Jones Indices 사의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를 추종합니다. S&P Dow Jones Indices는 지수 개발 및 운영, 관련 라이선스를 판매하는 기업으로서, 당사의 가장 유명한 Index 상품으로는 미국 S&P 500 ETF SPY, IVV, VOO의 추종 Index인 S&P 500® Index가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많이 알려진 SCHD ETF의 추종 Index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또한 당사의 지수 상품이 되겠습니다.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의 유니버스는 S&P Global Ex-U.S. BMI에 편입된 나라의 종목이어야 합니다. 그래서 S&P Global Ex-U.S. BMI에 대해 잠시 짚고 넘어가 보도록 합니다.

S&P Global Ex-U.S. BMI

S&P Dow Jones Indices 사에서 자체적인 기준을 만들어 각종 Index에 사용되고 있는 S&P Global BMI의 기준을 살펴봅니다.

S&P Global BMI(Broad Market Index)

48개 선진국 및 신흥 시장(Emerging Market) 국가와 14,000개 이상의 기업을 포함하는 이 지수는 각 구성 국가의 시가총액 중 99% 이상을 추적 및 분석합니다. 200,000개 이상의 하위 지수가 국가, 지역, 규모, GICS® 섹터 및 스타일별로 세분화되어 있어 투자자가 폭넓고 세밀한 시각으로 투자에 임할 수 있습니다. S&P 프런티어 BMI는 추가로 33개 프런티어 시장(Frontier Market) 국가를 포함합니다.

GICS® (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세계 산업 분류 기준): S&P Dow Jones Indices와 MSCI가 만든 기준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하나의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 사업을 확장해 나갑니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기업의 주요 분야에 대한 모호함을 기준에 따라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구분된 산업 분야를 통해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프런티어 시장(Frontier Market) 국가는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에서 제외되기에 설명을 생략합니다.

S&P Global BMI 기준에 따라 분류된 선진국과 신흥시장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메리카유럽중동 및 아프리카아시아
캐나다오스트리아룩셈부르크이스라엘호주
벨기에네덜란드홍콩
덴마크노르웨이일본
핀란드포르투갈뉴질랜드
미국프랑스스페인싱가포르
독일스웨덴대한민국
아일랜드스위스
이탈리아영국
S&P 선진 국가 BMI

아메리카유럽중동 및 아프리카아시아
브라질체코이집트중국
칠레그리스쿠웨이트인도
콜롬비아헝가리카타르인도네시아
멕시코폴란드사우디아라비아말레이시아
페루터키남아프리카공화국필리핀
U.A.E대만
태국
S&P 신흥시장 국가 BMI

기준에 의해 선진국 25개 국가와 신흥시장 23개 국가로 분류되었으며, 여기서 미국을 제외하면 최종적으로 선진국 24개국과 신흥시장 국가 23개국이 S&P Global Ex-U.S. BMI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류된 국가를 토대로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 유니버스의 설명을 이어가겠습니다.

해당 Index에서 리츠 및 모기지 리츠로 구분된 기업은 제외되며 $500,000 (현재 구성 종목일 경우 $250,000) 이상의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MDVT, Median Daily Value Traded)을 충족해야 합니다. 또한 매년 배당 성장이 이루어진 기간이 7년 이상인 기업으로 구성합니다.

여기서 IAD 수익률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기업의 순위를 매깁니다. 그리고 IAD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위 25% (현재 구성 종목 15%)에 해당하는 기업은 제외합니다. 즉, 주가 대비 배당을 많이 지급할 것이라 예상되는 기업은 제외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IAD 수익률 (Indicated dividend yield)

가장 최근에 지급된 배당금들을 기준으로 향후 12개월간 지급될 배당금을 예상하여 이 금액을 주가로 나눈 것입니다. 미래 예상 배당수익률 / 주가로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AD 수익률이 10%라고 가정한다면, 주가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 향후 12개월간 배당금으로 지급될 것을 뜻합니다.

종목에 대한 가중치는 매년 리밸런싱을 할 때마다 전체 지수 가중치의 4%라는 단일 종목 가중치 상한에 따라 FMC[Float-adjusted Market Capitalization, 유동 조정 시가총액 = 주가 * 유동 주식 수(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주식 수)] 가중치를 적용받습니다. 만약 단일 종목의 가중치 상한 4%가 초과되었다면, 초과된 가중치는 한도가 없는 구성종목에 비례적으로 재분배됩니다. 이 과정은 4% 상한을 위반하는 구성종목이 없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됩니다.

지수는 기준에 의거하여 매년 3월에 재구성되며, 분기별(나머지 6, 9, 12월)로 진행하는 업데이트에서는 추가 한도 상한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 요약

VIGI ETF가 추종하는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S&P Global BMI에 의거한 선진국과 신흥국가들의 기업을 대상으로 합니다. (미국 제외)
  2. 리츠 기업은 제외되며 일정 기준의 거래량을 충족한 7년 이상의 배당 성장 기업으로 이루어집니다.
  3. IAD 수익률 상위 25% 기업 (현재 구성종목 15%)은 제외됩니다.
  4. 단일 종목 상한 4%가 적용되며, 해당 연도 3월에 리밸런싱 후 다음 연도 3월이 되기 전까지 종목에 대한 한도 상한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VIGI ETF 종목 구성

S&P Global Ex-U.S. Dividend Growers Index를 추종하는 결과값으로 구성된 VIGI ETF의 종목 구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Index의 특성상 비율에 대한 세부적인 수치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국가별 구성입니다.

VIGI ETF 국가별 분포 (24년 3월 기준)
VIGI ETF 국가별 분포 (24년 3월 기준)

일본과 캐나다, 스위스가 48.6%의 비율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국, 인도, 덴마크 등의 순으로 비중이 분배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대한민국은 0.6%, 중국은 0.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VIGI ETF 섹터별 분포 (24년 3월 기준)
VIGI ETF 섹터별 분포 (24년 3월 기준)

VIGI ETF의 섹터별 분포도입니다. 헬스케어와 공업(Industrials), 금융 세 가지 섹터가 절반가량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필수 소비재와 IT 기업이 그 뒤를 이어갑니다. 미국의 빅 테크 기업들이 세계를 대상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미국 외 나라의 IT 기업 비중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VIGI ETF 종목별 분포 (24년 3월 기준)
VIGI ETF 종목별 분포 (24년 3월 기준)

VIGI ETF의 종목별 분포도입니다. 덴마크의 대형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독일의 SAP, 스위스의 노바티스와 네슬레 순으로 이어집니다. 참고로 대한민국의 삼성전자는 제외되었으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은 네이버로서 0.5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VIGI ETF Top10 유사 ETF와 비중 비교 (24년 3월 기준)
VIGI ETF Top10 유사 ETF와 비중 비교 (24년 3월 기준)

VIGI ETF의 상위 10개 종목을 유사한 개념의 ETF인 VYMI, PID, IDV ETF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PID ETF 7개, VYMI ETF 4개의 종목이 겹쳤으며, IDV ETF는 겹치는 종목이 없었습니다. 겹치는 종목들의 비중 또한 그리 높지 않아 VIGI ETF와 나머지 3개의 ETF의 상관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VIGI ETF 배당금

배당 성장 ETF를 투자하는 데 있어서 현재까지 지급된 배당금을 알아보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과거를 바탕으로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기란 힘들지만 어느 정도 방향성은 예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VIGI ETF의 21년 4분기 특별 분배금

VIGI ETF의 배당금 내역에 대해 알아보기 전 21년 4분기에 지급한 분배내역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합니다. VIGI ETF는 21년 4분기 주당 $5.3966의 분배금을 지급했습니다. 바로 전 분기인 21년 3분기에는 주당 $0.1378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며, 전년 동기인 20년 4분기에는 주당 $0.3836의 배당금을 지급한 바 있는데 21년 4분기의 특별 분배금은 전년 동기 (20년 4분기) 대비 1300% 이상 상승한 기이한 수치입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1년 4분기 당시 NAV(Net Asset Value, 투자 펀드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 자산 가치)의 1%를 초과하는 자본 이득 분배를 예상하는 ETF는 약 35개에 달했으며, FCVT ETF와 MFEM ETF는 각 NAV의 15.8%와 10.8%에 해당하는 주당 $8.83와 주당 $4.53을 분배하기도 했습니다.

21년 4분기 당시 VIGI ETF 주가 (출처: 구글)
21년 4분기 당시 VIGI ETF 주가 (출처: 구글)

VIGI ETF도 NAV의 6% 정도의 분배금이 지급되었으며, 이는 VIGI ETF만의 특별한 배당금 지급에 해당되는 점이 아님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분배가 이루어진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above-normal turnover (partly spurred by post-pandemic dividend cuts among some of its holdings), the inability to send some emerging-markets stocks out the door via in-kind redemptions, and strong one-directional flows. When ETFs experience strong inflows and few if any redemptions, they have fewer natural opportunities to rid low-cost-basis securities from their portfolios.

정상 이상의 ETF 회전율(일부 보유 종목의 팬데믹 이후 배당금 삭감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발생), 일부 신흥국 주식의 현물 상환, 강한 한 방향 흐름의 결과입니다. ETF에 자금이 많이 유입되고 환매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 포트폴리오에서 저가 기반 증권을 제거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기회가 줄어듭니다.
출처: Morning star

즉, COVID-19 이후 VIGI ETF를 구성하던 종목들 중 일부 신흥국들의 주식에 대한 이슈로 인해 발생된 단기적인 이벤트성 자본 이득에 대한 분배금의 지급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VIGI ETF의 과거 배당금 추이를 알아볼 때 21년 4분기의 분배금 지급은 제외 후 계산해 보는 것이 옳다고 판단됩니다.

VIGI ETF 배당금

VIGI ETF의 배당금 내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VIGI ETF는 분기별로 배당을 지급하며, 3, 6, 9, 12월에 지급됩니다.

VIGI ETF 분기별 배당금 현황 (24년 3월 기준)
VIGI ETF 분기별 배당금 현황 (24년 3월 기준)

COVID-19 사태로 인한 2020년 배당금 하락 건을 제외하면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21년 4분기 특별 배당금 이슈로 인해 나머지 배당금에 대한 내역을 그래프 상으로 판단하기 힘든 점이 있어, 특별 배당금이 지급된 시기의 전년도 4분기와 다음 연도 4분기 배당금 중간값을 구해 임의로 계산한 값을 넣어 수정해 보았습니다.

VIGI ETF 분기별 배당금 현황 수정본 (24년 3월 기준)
VIGI ETF 분기별 배당금 현황 수정본 (24년 3월 기준)

21년 4분기 특별 배당금을 수정한 그래프입니다. 분기별로 배당금 편차가 심하긴 하지만 꾸준히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VIGI ETF 연도별 배당금 현황 수정본 (24년 3월 기준)
VIGI ETF 연도별 배당금 현황 수정본 (24년 3월 기준)

VIGI ETF의 분기별 배당금 수정본을 연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COVID-19 사태로 인해 좋지 않은 시기를 보냈던 2020년도를 제외하고는 연도별 배당금 편차가 크기는 하지만 나름 괜찮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글 작성일 기준 VIGI ETF의 시가 대비 배당률은 2.02%이며, 최근 5년간 배당 성장률은 +10.32%의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VIGI ETF의 최근 배당금 내역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글은 배당금이 지급되는 분기마다 업데이트 중임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VIGI ETF 대비 주요 ETF 주가 흐름 비교

VIGI ETF와 비교 대상으로 삼았던 미국 외 배당 ETF 들인 VYMI, PID, IDV ETF의 주가 흐름을 비교해 보도록 합니다.

파랑: VIGI, 하늘: PID, 노랑: VYMI, 주황: IDV
VIGI ETF 대비 유사 ETF 최근 5년 주가 흐름 비교 (출처: 구글)
파랑: VIGI, 하늘: PID, 노랑: VYMI, 주황: IDV
VIGI ETF 대비 유사 ETF 최근 5년 주가 흐름 비교 (출처: 구글)

최근 5년간 미국 외 국가의 주식 시장 분위기는 좋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VIGI ETF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다음은 PID, VYMI, IDV ETF 순입니다.

VIGI ETF의 장점과 아쉬운 점

VIGI ETF를 알아보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장점과 아쉬운 점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VIGI ETF의 장점

  • 미국 외 배당 성장 ETF 중 가장 낮은 수수료와 상위권의 순 자산 가치는 VIGI ETF를 보다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 종합적으로 따져보았을 때 미국 외 배당 성장 ETF 중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물론 과거의 데이터가 미래의 수익률을 확실히 보장할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좋은 수익률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예상 정도는 할 수 있을 법한 데이터입니다.

VIGI ETF의 아쉬운 점

  • 미국을 제외한 나라의 배당 성장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주가 수익률이 비교적 저조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미국 기업에 대한 헷지의 목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이라고 하지만, 이로 인해 미국 기업들의 대단함을 다시 한번 느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모든 상품에는 장점과 아쉬운 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포트폴리오에서 나타나는 약점을 최대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VIGI ETF는 어느 정도 보완의 개념으로서 꽤 괜찮은 상품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지금까지 미국을 제외한 배당 성장 ETF VIGI에 대한 심층 분석과 VYMI, PID, IDV ETF와 비교 분석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