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 총수수료 수익률 비교(매월 업데이트 feat. 타미당 솔미당 에미당 코미당)

한국에 상장된 다양한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상품들을 24년 12월 30일 기준으로 업데이트해 보았습니다. 다섯 가지 상품(타미당, 솔미당, 에미당, 코미당, 솔미당 TR) 모두 동일한 Index를 추종하고 있기에 상품들을 비교할 때 기준점이 될 수 있는 배당 수익률, 총수수료, 총 수익률, 괴리율, 순 자산 총액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도록 합니다.

종합적 비교

Dow Jones U.S. Dividend 100 Price return Index를 동일하게 추종하고 있는 국내에 상장된 다섯 가지 ETF 상품은 당연하게도 비슷한 성과를 내주고 있기에 상품마다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 환 헤지형 제외)

이 글에서는 배당 수익률, 매매·중개 수수료가 포함된 총 수수료, 총 수익률, 괴리율, 순 자산 총액을 기준점으로 삼아 다양하게 비교했습니다. 글의 내용이 길어져 결과를 먼저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참고로 상품의 이름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TR의 앞 글자만 따서 TIGER, SOL, ACE, KODEX, SOL TR로 나타내었습니다.

종목수수료(%)24배당 수익률(%)괴리율(%)자산 총액()누적 주가 수익률(YTD)
TIGER
(458730)
0.13793.40%0.17📌19,715📌+17.06%
SOL
(446720)
0.15113.36%0.17📌7,765+17.47%
ACE
(402970)
0.15473.89%📌0.185,843+17.78%📌
KODEX (489250)0.1124📌1.19%0.183,005+8.61%
SOL TR (493420)0.23400.00%0.17📌280+4.96%
총 수수료(24년 11월 29일 기준)를 제외한 나머지는 24년 12월 30일 기준

위 수치들에 대한 History와 설명을 이어나가 보도록 합니다.

국내 상장 ETF 수수료의 함정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수수료를 확인해 보면, 최저 수수료라고 홍보하며 낮은 수수료율을 명시하고 있지만 실상은 조금 다릅니다. 매매·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수수료율을 공시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따라서 상품을 투자하는 실제 투자자가 지급하는 총 수수료를 확인할 때에는 금융투자협회에서 업데이트 중인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총 수수료를 기준으로 글을 이어나가도록 합니다.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보수·비용 수준 = TER(A+B) + 판매수수료율(C) + 매매·중개 수수료율(D)
– 총보수·비용 비율(TER, Total Expense Ratio) = (보수 합계 + 기타 비용) ÷ 펀드 순자산
2008년 6월 말 발표분부터 총비용 비율 공시기준이 변경
기타 비용에서 매매·중개 수수료분을 제외하고, 이를 별도 표기
출처: 금융투자협회

수수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정리해 보았으니, 확인이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내 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총수수료

앞서 설명드린 대로 금융투자협회에서 공시하고 있는 총수수료를 기준으로 다섯 가지 상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 참고로 금융투자협회의 자료 조회 가능 날짜는 현재 날짜 기준에서 약 1달 전이므로, 25년 1월 6일 기준으로 24년 11월 29일 자료를 기준 삼아 글을 작성하는 것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미국배당다우존스 총 수수료 비교(24년 11월 29일자 기준)
미국배당다우존스 총 수수료 비교(24년 11월 29일자 기준)

미국배당다우존스가 최근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ETF 중 하나가 됨으로써 수수료 인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TIGER ETF가 출시된 이후 SOL ETF와 ACE ETF가 급격하게 수수료를 낮췄다는 점입니다.

또한 KODEX ETF와 SOL ETF에서 동일한 Index를 추종하는 상품을 비교적 최근에 출시했기에, 4사의 수수료 전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입니다.

24년 11월 총 수수료는 가장 낮은 순으로 TIGER < SOL < ACE 입니다. TIGER의 상품이 가장 낮은 총 수수료가 책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KODEX는 24년 8월에 상장, SOL TR은 24년 10월에 상장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배당 수익률

자산 운용사 네 곳의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배당 수익률에 대해 비교해 보도록 합니다. 배당금은 모두 월별로 1회, 매년 12회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아래 차트는 연 단위로 나타낸 수치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 수익률 비교(24년 12월 30일 기준)
미국배당다우존스 배당 수익률 비교(24년 12월 30일 기준)

배당 수익률이 높은 순으로 ACE > TIGER > SOL > KODEX 입니다. ACE가 가장 높은 배당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만, ACE는 최근 배당 주기를 매월 말일에서 매월 중순으로 변경한 점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SOL TR은 배당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하는 상품임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운용사의 상품에 대한 최근 배당 관련 내용들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배당금이 지급되는 월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중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괴리율 표준편차

자산 운용사 네 곳의 미국배당다우존스 상품별 괴리율 표준편차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괴리율이란 ETF의 순 자산 가치로 매겨진 가격과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의 차이를 뜻합니다.

괴리율의 편차가 클수록 ETF의 실제 가치와 시장 가격의 차이가 크다는 의미를 가지므로, 0에 가까운 괴리율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배당다우존스 월별 괴리율 표준편차 비교(24년 12월 30일 기준)
미국 배당다우존스 월별 괴리율 표준편차 비교(24년 12월 30일 기준)

전체적으로 추세는 비슷하게 흘러가지만 상품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데, 24년 12월 30일 기준으로 SOL, SOL TR, TIGER가 가장 낮은 수준인 0.17%의 괴리율 표준편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ETF 괴리율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내 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순 자산 총액

순 자산 총액은 ETF 총 자산에서 부채라고 볼 수 있는 운용 보수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뜻합니다. 순 자산 총액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해당 상품에 많은 투자자들이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미국배당다우존스 순 자산 총액 비교(24년 12월 30일 기준)
미국배당다우존스 순 자산 총액 비교(24년 12월 30일 기준)

전체적으로 비슷한 흐름을 유지하다가 TIGER의 상품이 최근 들어 엄청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4년 12월 30일 기준 약 1.9조 원이 넘는 투자금이 TIGER의 상품에 유입되면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배당다우존스 2024년 누적 주가 수익률

미국배당다우존스의 2024년 누적 주가 수익률을 상품별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전체적으로 비슷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ACE ETF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배당다우존스 월별 누적 주가 수익률 비교 (24년 12월 30일 기준)
미국배당다우존스 월별 누적 주가 수익률 비교 (24년 12월 30일 기준)

지금까지 국내에 상장된 미국배당다우존스의 5가지 상품 타미당, 솔미당, 에미당, 코미당, 솔미당 TR을 배당, 총수수료, 총 수익률 등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이 글은 매월 업데이트될 예정임을 참고하시면 투자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