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구분 없이 시가총액 순으로 구성된 VT ETF 투자 심층 분석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이자 돈 잘 버는 기업들이 모여있는 미국은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정치, 군사, 문화적으로도 세계 모든 나라에 비해 우위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패권을 장악한 국가의 힘이 영원히 지속되진 못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VT ETF는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의 주식을 시가총액이 높은 순으로 보유함으로써, 향후 미국의 기업들을 능가하는 다른 나라의 기업들의 주가 상승률 또한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VT ETF 투자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Vanguard

VT ETF는 뱅가드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서, Vangurad Total world stock ETF의 앞 두 글자를 따와서 네이밍 된 ETF입니다. 뱅가드는 1975년에 설립되었으며,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락에 이어 미국 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운용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자산운용사입니다. (Vanguard $7.7 Trillion 한화 약 1경 원. 23년 4월 기준) 자산 규모 기준으로 보았을 때 자산운용사 뱅가드는 VT ETF를 투자하는 데 있어서 전혀 문제 될 것이 없어 보입니다.

John C. Bogle

개인적으로 ETF 투자를 좋아하는 사람 중 한 사람으로서 소개를 해보려 합니다. 뱅가드 그룹의 창립자이자 CEO였던 존 보글은 ETF의 실질적인 창시자(ETF의 창시자는 따로 존재하지만, 대중화된 것은 뱅가드의 역할이 큼.)로서 버크셔 해서웨이의 주주총회에서 워런 버핏이 영웅이라고 칭했던 분입니다. 존 보글의 투자철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비용 펀드 선택
  2. 추가 자문 비용을 신중하게 고려할 것
  3. 과거 펀드 성과를 과대평가하지 말 것
  4. 과거 실적을 사용하여 일관성과 위험도를 판단하기
  5. 스타 뮤추얼 펀드 매니저 주의하기
  6. 자산 규모 주의
  7. 너무 많은 종류의 펀드를 보유하지 말 것
  8. 펀드 포트폴리오를 구매 – 그리고 Hold 할 것.

인상적인 것은 존 보글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1929년 5월 ~ 2019년 1월) 그의 투자 철학에 영감을 받은 투자자들이 보글 헤드(Bogleheads)라는 사이트를 통해 투자에 대한 정보와 철학들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Prepare to investCreate a portfolioMaintain discipline
감당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생활하기다각화시장에 시간을 맞추려고 하지 마세요
실행 가능한 계획 수립단순하게 투자하기코스 유지
위험을 너무 많이 또는 너무 적게 감수하지 마세요가능한 경우 인덱스 펀드 사용
일찍 그리고 자주 투자하기비용 최소화
세금 최소화
보글 헤드의 투자 철학

외국 사이트로서 번역을 해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ETF 위주의 투자 방법을 추구하시는 투자자분들께서는 한 번쯤 둘러봐도 괜찮을 법한 사이트입니다. 링크는 아래에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Vanguard Total World Stock ETF, VT

2008년 6월에 출시되어 지금까지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 VT ETF는 순 자산 가치 $46.1 Billion (한화 약 61조 원)의 규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일 ETF로는 엄청난 규모라고 봐도 될 정도의 규모 수준입니다. 수수료는 다양한 국가에 투자되는 ETF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저렴한 수준인 0.07%입니다.

순 자산 가치$46.1 Billion (한화 약 61조 원)
수수료0.07%
배당률2.09%
최근 5년 연평균 배당 성장률6.31%
24년 3월 기준

배당률과 최근 5년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조금 낮은 편입니다. 배당을 목적으로 구성된 ETF가 아니기에 이해를 해야 할 수치인 것 같습니다.

VTIOOVTIVOO
출시일08년 6월00년 12월01년 5월10년 9월
순 자산가치$46.1 Billion$5.0 Billion$1.5 Trillion$1.1 Trillion
운용사VanguardBlack RockVanguardVanguard
종목수9,8261023,731505
수수료0.07%0.41%0.03%0.03%
배당률2.07%1.36%1.34%1.34%
최근 5년 연평균 배당 성장률6.31%2.20%5.64%4.66%
배당 주기분기반기분기분기
24년 3월 기준

VT ETF와 유사한 ETF들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IOO는 글로벌 상위 100개 기업, VTI는 미국의 모든 기업, VOO는 미국의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ETF입니다. 몇 가지 기준으로 분류해 보았을 때 VT ETF를 포함한 네 가지 ETF 모두 비슷한 성향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VT ETF의 추종 Index 살펴보기

ETF 상품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는 ETF가 추종하는 Index가 어떤 기준을 가지고 종목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Index의 방법론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종목과 비중이 결정되며, 이는 ETF의 수익률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FTSE Global All Cap Index

VT ETF는 FTSE Global All Cap Index를 벤치마킹하고 있습니다.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Group)는 글로벌 금융시장을 위한 지수 상품 생성을 전문으로 하는 금융 조직으로서 2015년 5월, FTSE 그룹은 Russell과 합병하여 FTSE Russell이라는 브랜드 이름을 만들고 운영 중에 있습니다. FTSE의 가장 유명한 지수는 영국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인 FTSE 100지수가 있습니다.

FTSE Global All Cap Index는 일정 기준에 부합되는 국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국가들에 해당되는 기업은 Index에서 제외됩니다. (ex. 2003년 베네수엘라 삭제, 2022년 러시아 삭제) 또한 산업 분류 기준에 따라 폐쇄형 투자 및 주식, 기타 투자(예: 투자 신탁)를 보유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회사를 포함한 FTSE에서 비적격으로 판단되는 기업 또한 제한됩니다.

FTSE Global All Cap Index는 글로벌 지수에 포함된 국가의 국적을 부여받은 모든 적격 기업을 선택하여 유니버스를 정의합니다. FTSE 글로벌 지수에 포함된 모든 증권은 국적 설명서에 명시된 규칙에 따라 국적을 할당받습니다. (글 작성일 기준으로 41개국이 지수에 포함됩니다.)

기업의 전체 시가총액(발행 주식 * 가격)을 기준으로 회사 가치를 평가하고, 전체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여러 라인을 그룹화하고 회사의 순위를 매깁니다. 지역 유니버스의 총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전체 시가총액이 10%를 초과하는 모든 회사는 10%로 상한이 설정됩니다.

FTSE Global All Cap Index 요약

해당 Index를 요약하자면 먼저 적합한 기준에 맞는 국가들과 기업을 선별하고 해당 국가의 기업들을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부터 내림차순으로 나열하여 계산된 가중치만큼의 비율로 구성합니다. 그리고 시가총액이 10%를 초과하는 기업은 10%의 상한선을 기준으로 비중이 조절됩니다.

VT ETF 구성

VT ETF를 나라, 섹터, 기업 순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한 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나라별 구성입니다.

VT ETF 나라별 구성 (24년 3월 기준)
VT ETF 나라별 구성 (24년 3월 기준)

세계에서 가장 돈 잘 버는 기업들이 모여있는 미국이 절반 이상인 62.2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일본, 영국, 캐나다, 프랑스, 중국, 인도 순입니다. 한국은 표에는 보이지 않지만, 12번째 순위로 1.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VT ETF 섹터별 구성 (24년 2월 기준)
VT ETF 섹터별 구성 (24년 2월 기준)

섹터별로는 요즘 대세 분야인 기술 분야가 약 2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자유소비재(Consumer Discretionary), 금융, 산업, 헬스케어, 필수소비재(Consumer Staples) 순입니다.

VT ETF Top10(좌)과 미국 외 Top10(우) 구성 (24년 3월 기준)
VT ETF Top10(좌)과 미국 외 Top10(우) 구성 (24년 3월 기준)

다음은 VT ETF의 상위 10개 기업과 미국 기업을 제외한 나라의 상위 10개 기업 구성을 나타내보았습니다. VT ETF의 상위 10개 기업은 미국 주식에 관심이 있는 분이시라면 다 아실법한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등의 굵직한 기업들로 포진되어 있습니다. 상위 10개 기업의 비중은 17.08%로 비교적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을 제외한 상위 10개 기업을 보았을 때, 대만의 TSMC, 네덜란드의 ASML, 덴마크의 노보노디스크, 일본의 도요타, 스위스의 네슬레, 한국의 삼성전자, 프랑스의 LVMH, 중국의 텐센트, 독일의 린데, 스위스의 노바티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기업들의 비중은 3.72%를 차지합니다.

VT ETF 대비 유사 ETF Top10 비중 비교 (24년 3월 기준)
VT ETF 대비 유사 ETF Top10 비중 비교 (24년 3월 기준)

앞서 비교했던 VT ETF와 유사한 기준으로 구성된 IOO, VTI, VOO ETF를 상위 10개 종목에 대해 단순 비교해 보았습니다. VT ETF가 종목이 가장 많은 만큼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은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며, IOO ETF는 종목수가 가장 적은 약 100개 정도로 구성되어 상위 10개 종목의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IOO ETF의 종목 구성 중 메타와 버크셔 해서웨이가 포함되지 않은 것입니다.

VT ETF 배당금

배당률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된 ETF가 아닌 만큼 VT ETF의 배당률은 그리 높지 않은 편입니다. 그래도 VT ETF는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기에 한 번 살펴보도록 합니다.

VT ETF 분기별 배당금 현황 (24년 3월 기준)
VT ETF 분기별 배당금 현황 (24년 3월 기준)

가장 최근에 분배된 24년 1분기 내역까지 포함한 VT ETF의 분기별 배당금 현황입니다. 배당금이 가장 많이 지급되는 4분기를 필두로 지속적인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를 통해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합니다.

VT ETF 연도별 배당금 현황 (24년 3월 기준)
VT ETF 연도별 배당금 현황 (24년 3월 기준)

VT ETF의 연도별 배당금 현황입니다. 2015년과 비교적 최근 연도인 20년, 22년에 마이너스 성장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가장 최근 연도인 24년 1분기에는 23년 1분기 대비 약 44.8% 상승한 주당 $0.421의 배당금을 지급함으로써, 24년 또한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시가 대비 배당률은 약 2.09%이며, 최근 5년간 배당 성장률은 6.31%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VT ETF의 최근 배당금 지급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VT ETF와 주요 ETF들의 주가 흐름 비교

VT ETF와 유사한 형태의 앞서 비교했던 나머지 3개 ETF 들과 주가 흐름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랑: IOO, 주황: VOO, 하늘: VTI, 파랑: VT
VT ETF와 주요 ETF들의 최근 5년 주가 흐름 비교 (출처: 구글)
노랑: IOO, 주황: VOO, 하늘: VTI, 파랑: VT
VT ETF와 주요 ETF들의 최근 5년 주가 흐름 비교 (출처: 구글)

글로벌 기업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된 IOO ETF와 미국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VOO ETF가 가장 좋은 주가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미국 전체 기업으로 구성된 VTI ETF, 그리고 오늘 소개해 드린 세계 모든 기업으로 구성된 VT ETF 순입니다. 최근 다른 나라 대비 미국의 경제 상황이 더 좋아지다 보니, 미국의 상위 기업들에 집중된 ETF들의 주가 흐름이 상대적으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VT ETF의 장점과 아쉬운 점

VT ETF를 알아보면서 개인적으로 생각한 장점과 아쉬운 점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VT ETF의 장점

  • VT ETF 종목 구성 방법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세계에 존재하는 나라의 기업을 시가총액 비중 순으로 하나의 상품에 의해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VT ETF가 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는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알아서 기업의 비중을 조절해 줌으로써 어떤 나라, 어떤 기업이 누구나 이겨도 투자자는 수익을 함께 가져갈 수 있습니다.
  • 저렴한 수수료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VT ETF와 비슷하게 구성한다고 가정해 본다면, 우리나라에서 해외 투자 서비스가 되지 않는 국가도 존재할 뿐만 아니라 VT ETF와 같은 수수료로 구성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 안정적인 주가 흐름입니다. 패시브 ETF 투자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분산화된 종목 구성과 낮은 종목 회전율은 비교적 낮은 변동성을 나타냄으로써,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 될 수 있습니다.

VT ETF의 아쉬운 점

  • 미국에 집중된 종목 구성은 VT ETF의 아쉬운 점으로 꼽힐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나라 중에서 미국의 기업이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절반 이상이 미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미국 외의 다른 나라에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는 아쉽게 느껴질 수 있는 비중입니다.
  • 약 10,000개에 달하는 종목 구성은 분산 투자라고 칭하기에는 너무 많은 것이 아닐까 생각을 들게 해줄 수 있는 숫자입니다.

어떤 상품이든 장점과 비교적 아쉬운 점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잘 파악하고 조합해서 자신만의 투자를 하는 것이 투자자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지금까지 나라 구분 없이 시가총액 순으로 구성된 VT ETF의 투자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