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 미국 S&P 500 ETF로 괴리율 개념 알아보기

미국 주식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인해 국내에 많은 자산운용사들이 미국 S&P 500 index를 추종하며 연금계좌와 퇴직연금에 투자 가능한 상품들을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하여 투자자로 하여금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인기에 휩쓸려 무턱대고 아무 ETF 상품이나 골라선 안될 것입니다. 오늘은 ETF를 고르는 기준 중 하나인 괴리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ETF의 정의와 괴리율

간단한 내용이지만 그래도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서 한 번 알아봅니다.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어로서 주식거래소에서 주식처럼 쉽게 매매가 가능한 펀드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모은 상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ETF는 추종하고 있는 특정 Index의 기준에 따라서 종목을 구성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을 벗어나는 종목은 편출되며, 기준에 부합되는 종목은 편입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예시: 배당률 5%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된 ETF라면, 해당 ETF의 리밸런싱 기간에 배당률 5%의 기준에 미달되는 종목은 편출되며, 부합되는 종목은 편입됩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ETF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들의 실제 가격에 대한 합이 1,000만 원일 때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ETF의 가격은 1,000만 원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만약 구성된 종목들의 실제 가격 합이 1,000만 원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1,500만 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면, 해당 ETF를 들고 있는 사람은 얼른 팔고 싶겠지만 구매자 입장에서는 1,500만 원을 주고 살바에 구매자 본인이 직접 ETF에 구성된 종목을 동일한 비중으로 구매하는 것이 현명한 거래일 수 있습니다. 즉, 거래가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클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되면 ETF의 존재에 대한 의미가 없어지므로, 해당 ETF 상품은 상장폐지될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짚고 넘어가도록 합니다.

Net Asset Value (순 자산 가치, NAV)

예시로 언급한 ETF 가격 1,000만 원에는 구성된 종목들의 가격(자산)과 함께 운용사에서 상품을 운용하면서 발생되는 수수료(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수수료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현금의 유출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일종의 부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ETF 상품이 구성되어 있는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 자산총액에서 ETF 발행 증권 수량으로 나누면 순 자산 가치 NAV가 계산됩니다.
순 자산 가치(NAV)
순 자산 가치(NAV)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순 자산 가치인 NAV로 설명을 이어갑니다. NAV는 9,500원인데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은 10,000원이 될 수도 있으며 9,000원이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NAV 대비 프리미엄을 더 주고서라도 지금 당장 구매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며, 급한 돈이 필요해 손해를 보더라도 팔고자 하는 사람 또한 존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잠깐! 짚고 넘어가도록 합니다.

괴리율 (乖離率, disparate ratio)

괴리율이란 순 자산 가치(NAV) 대비 실제 ETF 상품의 가격이 더 높거나, 낮은 경우 발생되는 GAP을 의미합니다.

NAV가 9,500원이지만 시장에서 10,000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면 약 5.2%의 프리미엄(할증)이 붙여진 채 거래가 되고 있는 것이며, +5.2%의 괴리율이 발생되고 있음을 듯합니다. 반대로 시장에서 9,000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면 약 5.2%의 디스카운트(할인)가 된 상태로 거래가 되고 있으며, -5.2%의 괴리율이 발생되고 있음을 뜻합니다.
괴리율
괴리율

국내 상장 미국 S&P 500 ETF 괴리율이 발생되는 이유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 주가와 의결권이 없는 대신 배당이 더 높은 우선주의 경우 괴리율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삼성전자 보통주와 삼성전자 우선주의 주가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똑같은 삼성전자의 주식이지만, 시장의 상황에 따라 괴리율이 많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국내에 상장된 미국 S&P 500 ETF를 예로 들어서 괴리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국내에 상장된 미국 S&P 500 ETF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S&P Dow Jones Indices의 S&P 500 Index를 추종합니다. 그러므로 ETF 상품들은 해당 Index의 움직임에 따라갑니다. 하지만 S&P 500은 미국의 주식들로 구성된 지수이며, 당연하게도 미국 주식시장이 열리는 시간에 가격이 변동합니다. 그러므로 국내에 상장된 미국 S&P 500 ETF는 국내 주식거래소 개장시간에 거래가 되기에 가격의 차이는 발생될 수밖에 없습니다. 괴리율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미국 S&P 500 ETF는 시차 문제로 인해 괴리율이 발생될 수 있으며, 미국 주식 시장은 휴장이지만, 국내 주식거래소는 개장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개장일 차이로 인한 괴리율입니다. 그 외에도 단순하게 시장에서 매수 또는 매도 중 한쪽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되면서, NAV와는 다르게 시장가격이 치솟거나 곤두박질치는 경우도 발생됩니다. 이 또한 괴리율이 발생되는 사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사례로 인해 괴리율이 발생되는데, ETF의 경우 괴리율이 일정 수준(국내 종목 ETF ±1%, 해외 종목 ETF ±2%)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한국 거래소에서는 공시 시스템을 통해 의무적으로 해당 사실을 공시를 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주의하라는 일종의 메시지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괴리율 발생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 LP 제도

괴리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ETF 투자가 망설여질 것입니다. 올바른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산 운용사의 입장에서도 투자자가 없는 ETF 상품은 더 이상 운용하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괴리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LP(Liquidity Provider, 유동성 공급자) 제도입니다. ETF가 거래되는 시장에서 NAV에 최대한 가까운 가격을 유지하게 위해 해당 가격에 대한 상방과 하방의 호가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MTS 거래창의 LP 물량
MTS 거래창의 LP 물량

위 이미지는 LP에 대한 설명을 위해 MTS의 거래창을 본떠서 만든 예시입니다. 예시 이미지를 보시면 해당 상품에 대한 괴리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방과 하방에 상당한 물량이 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방의 2, 44, 하방의 61, 180과 같은 비교적 소수의 잔량은 개인이 매도하기 위한 수량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만 단위로 매수, 매도 물량이 쌓여 있는 것은 가격 유지를 위한 LP의 물량으로 볼 수 있습니다. LP의 물량을 통해 투자자는 최소화된 괴리율이 적용된 가격으로 비교적 자유롭게 ETF 거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LP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을 유의할 것

ETF 거래 시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입니다. 호가 의무 면제 시간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는 유동성 공급자 LP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을 뜻합니다. LP의 호가 제출 의무가 없는 시간으로서, 때에 따라 괴리율이 엄청나게 차이가 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ETF를 정상적인 가격으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이 시간에는 가급적 거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가 의무 면제시간

오전 동시 호가 시간 (08:00 ~ 09:00) / 주식시장 개장 5분 후 (09:00 ~ 09:05) / 오후 동시 호가 시간 (15:20 ~ 15:30)

ETF 상품을 통한 투자는 많은 장점이 존재하지만, 괴리율과 같은 단점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만 주의한다면, 올바른 ETF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1. LP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가격의 오차로 인해 더 비싼 값으로 매수하거나 헐값에 매도를 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2. 순 자산총액이 풍부하며, 수수료가 저렴한 ETF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ETF 상품은 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거래량이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거래량이 많으면 괴리율이 발생되는 확률 또한 낮아지게 됩니다.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 S&P 500을 추종하는 상품은 아주 다양합니다. 이 중에서 올바른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해당 내용은 위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ETF의 괴리율에 대한 개념을 국내 상장 미국 S&P 500 ETF를 예로 들어 알아보았습니다. 현명한 투자를 통해서 지속적인 투자 수익 얻어 가시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