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ETF을 비교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들을 24년 12월 30일 기준으로 업데이트해 보았습니다.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고 있는 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ETF 상품들을 비교할 때 기준점이 될 수 있는 총 수수료 및 배당금, 괴리율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종합 비교
글의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 비교 결과를 먼저 요약해서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다양한 미국 나스닥 100 ETF의 총 수수료, 배당 수익률, 괴리율을 종합적으로 비교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종목 | 총 수수료(%) | 24년 배당 수익률(%) | 괴리율(%) | 순 자산 총액(억원) | 누적 주가 수익률(YTD) |
---|---|---|---|---|---|
TIGER (133690) | 0.2146 | 0.51%⭐️ | 0.27 | 45,314⭐️ | +36.48% |
KODEX (379810) | 0.1729⭐️ | 0% | 0.27 | 17,449 | +37.41%⭐️ |
ACE (367380) | 0.1886 | 0.50% | 0.26⭐️ | 12,938 | +36.35% |
RISE (368590) | 0.1732 | 0.49% | 0.28 | 9,492 | +36.27% |
SOL (476030) | 0.5526 | 0.30% | 0.29 | 359 | +27.52% |
미국 나스닥 100 ETF 추종 Index
ETF를 살펴보는 데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해당 ETF가 추종하는 Index의 종목 선정 방식입니다. Index의 정해진 Rule에 의해 종목이 편입되거나 편출되며, 이렇게 구성된 종목들에 의해 수익률이 결정되는 것이기에 Index의 방법론은 아주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국내에 상장된 환노출형 미국 나스닥 100 ETF 상품 5가지는 모두 미국 기업 Nasdaq이 운영하고 있는 NASDAQ-100® Index를 추종하고 있습니다.
(그 외 미국에 상장된 QQQ ETF 및 레버리지 ETF QLD ETF, TQQQ ETF 또한 해당 Index를 추종합니다.)
따라서 국내에 상장된 주요 나스닥 100 ETF 상품들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투자자로서 상품을 투자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것은 크게 수수료와 배당금, 괴리율, 순 자산 총액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의 수수료에 대한 진실
보통 ETF 상품을 알아보기 위해 해당 상품의 홈페이지나 재테크 관련 각종 SNS, 영상을 참고하게 됩니다. 각종 매체에 소개된 상품의 수수료를 살펴보면 아주 낮은 수수료가 책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투자자가 지급하게 되는 수수료는 약간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수료는 운용+판매+수탁+사무관리 비용이 더해진 보수율(A)와 기타 비용(B), 그리고 판매수수료(C)가 포함된 수수료입니다.
공시기준에 따라 A+B+C가 더해진 수수료를 통해 홍보되고 있지만, 그 외에 한 가지의 수수료가 더 추가되는데 이를 매매∙중개 수수료율(D)라고 칭합니다.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보수·비용 수준= TER(A+B)+판매수수료율(C)+매매∙중개 수수료율(D) 2008년 6월 말 발표분부터 총비용 비율 공시기준이 변경 – 기타 비용에서 매매∙중개 수수료분을 제외하고, 이를 별도 표기 |
ETF 상품 특성상 장기 투자를 지향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찾게 되는데,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발생되는 비용이 낮을수록 투자자 입장에서는 더 많은 수익을 가져가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수수료는 ETF 상품을 투자하기 전 아주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기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총 수수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미국 나스닥 100 ETF의 총 수수료 비교
ETF 상품의 수수료는 고정적인 비율로 정해져 있는 듯하지만, 모든 비용이 포함된 실제 총 수수료를 조회해 보면 조금씩 늘어나거나 줄어들기도 합니다.
따라서 매번 수수료를 조회하기는 번거롭더라도 가끔씩은 본인이 투자하고 있는 상품의 수수료가 어떤 추이를 통해 변화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ETF의 총 수수료율을 기간별로 표를 통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서 발표하는 ETF 상품별 총 수수료율은 현재일 기준으로 약 한 달 전의 날짜까지 조회가 가능함으로 인해 해당 자료는 한 달 전의 수수료율로 업데이트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4년 11월 29일 기준, KODEX의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며, 다음으로 RISE < ACE < TIGER < SOL 순으로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SOL 미국 나스닥 100의 경우에는 비교적 가장 최근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 나스닥 100 ETF 배당금 비교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상품 5가지가 매년 지급하고 있는 배당금에 대해서도 위 표와 같은 방식으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KODEX 미국 나스닥 100 ETF의 경우 TR(Total Return) 방식으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고, 발생되는 배당금은 모두 재투자가 되기에 이를 고려해서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장 많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은 미래에셋의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입니다. 이에 비해서 나머지 ETF들의 배당금 지급액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의 금액을 지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IGER ETF의 경우 2010년 10월 14일 기준가 10,000원으로 거래가 시작된 상품으로서, 타사의 ETF 대비 오랜 기간 운용되어 왔기에 시장가의 차이로 인한 배당금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 수익률을 통해 각 사별 ETF 상품의 배당금 추이를 다시 한번 살펴보도록 합니다. (각 상품별 배당금 지급일이 상이함으로 조회 날짜 기준에 따라 배당금이 상대적으로 적게 지급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배당 수익률을 계산해 보니, SOL ETF를 제외한 나머지 상품은 큰 차이는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상품별 배당 수익률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미국 나스닥 100 ETF 괴리율 비교
ETF의 괴리율은 순 자산 가치(NAV) 대비 ETF의 시장 가격이 더 높거나 더 낮은 경우의 차이에 대한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실제 ETF 상품의 가치는 10,000원이지만 거래 시간의 차이와 매수, 매도량의 차이 등 여러 사유로 인해서 실 가치보다 저렴한 9,000원에 거래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더 비싼 11,000원에 거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괴리율은 상품마다 차이가 발생될 수 있는데, 괴리율을 최대한 낮게 유지하여 순 자산 가치와 거의 동일한 수준인 0%에 가까운 수준으로 관리되는 상품이 가장 안정적으로 잘 관리되고 있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ETF 괴리율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국 나스닥 100 ETF 상품별 당일 순 자산 가치(NAV) 대비 종가의 괴리율을 월별 표준편차로 계산하여 나타내 보았습니다. 5개 상품 모두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나스닥 100 ETF 순 자산 총액 비교
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ETF의 순 자산 총액을 월별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순 자산 총액이 높으면 일반적으로 수수료가 낮아지며, 거래량 또한 높아지는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상품이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이를 잘 판단하여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할 것입니다.
TIGER ETF의 순 자산 총액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나스닥 100 ETF 2024년 누적 주가 수익률
미국 나스닥 100의 상품별 2024년 누적 주가 수익률을 월별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KODEX 상품의 수익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TIGER, ACE, RISE, SOL 순입니다.
앞서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SOL ETF는 2024년에 상장한 것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국내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Index를 추종하는 환노출형 ETF 상품 5가지를 여러 기준에 의해 비교해 보았습니다. 해당 글은 매월 업데이트될 예정이므로 ETF 상품을 투자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